中 정부도 화웨이 장비 논란 사태 파악 나서…

화웨이 글로벌기업 최초 `상생간담회` 갖고 진화 나서

중국 정부가 최근 논란이 된 국내 통신사 화웨이 기지국 도입 문제에 대해 직접 사태 파악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국정감사에서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까지 우려를 표하자 한국지역 사장을 소환해 관련 내용을 보고 받으며 자칫 양국 간 불협화음으로 비화되는 것을 경계하고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화웨이 장비 공급 건을 계기로 그간 국내 통신시장을 주름잡으며 상생은커녕 시장교란의 주범으로 지목된 다국적 글로벌 기업의 행태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7일 화웨이는 글로벌 장비업체로는 처음으로 한국 중소기업과 광범위한 협력방안을 발표하며 논란 진화에 집중했다. 본지 10월 21일자 1면, 29일자 1면 참조

이날 업계에 따르면 주한 중국대사관은 이달 초 황화위 화웨이코리아 사장을 불러 최근 LG유플러스에 기지국을 공급하게 된 배경을 청취했다.

지난 10월 31일 최문기 미래부 장관이 국정감사에서 새누리당 이상일 의원에 대한 답변으로 “국내 업체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많아 보이고 보안 문제를 걱정하고 있다”고 언급한 직후다.

중국 정부마저 관심을 가지면서 화웨이는 보다 적극적인 상생협력 방안 마련에 나섰다.

실제로 화웨이는 7일 프레스센터에서 상생협력간담회를 열고 국내 중소 ICT 기업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지금까지 국내 대기업이 아닌 글로벌 장비업체가 직접 한국 중소업체와 상생협력을 강화하겠다며 기자간담회를 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화웨이는 이날 상생간담회에서 △CPRI 공개 △공동 연구개발(R&D)센터 설립 △해외동반진출 등을 골자로 한 협력방안을 발표했다.

에릭슨 등 글로벌 통신장비업체들이 공개하지 않던 통신 프로토콜 `CPRI` 규격을 국내 중소 통신장비업체에 최초로 공개한다. 이 규격이 공개되면 국내 중계기 업체들은 이동통신핵심인 소형기지국(RRH)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기지국 구축 시 필요한 안테나, 대역 결합기, 분배기, 광케이블, 급전선 등과 같은 부자재와 관련 공사도 국내 중소업체에 맡긴다.

왕 쥔 화웨이 글로벌 롱텀에벌루션(LTE) 네트워크 사장은 “한국의 첨단 LTE망 솔루션 구축에 화웨이가 참여할 수 있게 돼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화웨이는 이번 기회를 통해 한국 ICT산업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협력 방안을 제안하게 됐다”고 밝혔다.

통신장비 업계에서는 화웨이가 상생협력방안을 내놓자 다소 기대를 나타내면서도 이번 기회에 시스코 등 다른 글로벌 장비업체들도 국내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어느 정도 역할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계기로 `끼워 팔기` 등 국내 통신시장 생태계를 교란하고 도·감청 파문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미국계 통신장비 업체들도 국내 기업과의 상생 방안 마련에 의지를 내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통신장비 업체 한 사장은 “화웨이의 상생협력방안은 얼마나 실천력이 담보될지가 관를”이라며 “이번 기회에 글로벌 장비업체들이 끼워 팔기나 인력 빼가기 등의 횡포를 자제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진지하게 고민해 한다”고 주문했다.

국내 장비업계의 생태계 파괴 우려가 커지자 미래부도 8일 윤종록 2차관 주재 간담회를 갖고 업계의 애로사항을 적극 청취, 관련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