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가안보국(NSA)의 정보감청에 뒤통수를 맞은 브라질이 `과도한` 보안 정책을 펼쳐 논란을 빚고 있다.
13일 파이낸셜타임스는 브라질 정부가 정보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오히려 `빅브라더`처럼 자국민 사생활 침해를 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브라질 정부는 브라질 국적을 가진 모든 사람에게 정부가 만든 고유의 보안 이메일 서비스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정했다. 이 정책이 시행되면 개인 간 주고받은 메일이나 사적인 정보가 모두 국가 서버에 저장되는 셈이다.
브라질은 자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미국 국적 인터넷 기업을 완전히 추방하려는 움직임도 보였다. 시장 진출에 불이익을 주는 정도가 아니라 브라질에 기존 설치돼있던 데이터센터 등을 모두 철거하는 경제적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수준이다. 앞서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은 미국의 정보 감청 사실에 특히 격분해 공식적으로 유감을 표명했다. 브라질의 개인정보 침해 피해는 다른 나라에 비해 컸다고 알려졌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브라질의 정책이 세계 인터넷 시장의 `보호무역주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페이스북 사용자를 가진 브라질이 반미 감정으로 폐쇄적인 보안 정책을 펴면 중국, 러시아, 터키, 인도, 인도네시아처럼 유사한 성향의 국가도 이를 따라할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다.
이 매체는 “국민의 개인정보를 직접 보관하겠다는 브라질 정부의 심정을 수긍하지 못할 바는 아니지만 이 정책은 브라질 국민과 국가경제에 좋지 않다는 점에서 재고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정미나기자 min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