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얼음화학·희토류없는 광소재 등 27개 1차 지원과제 선정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얼음화학·희토류없는 광소재 등 27개 1차 지원과제 선정

<표1.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기초과학 선정 12개과제(재단사업)>


표1.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기초과학 선정 12개과제(재단사업)

삼성그룹은 10년간 1조5000억원을 출연하기로 한 미래기술육성사업의 1차 지원 대상으로 27개 과제를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선정된 과제는 △`얼음화학-새로운 화학분야 연구` 등 기초과학 분야 12건 △`희토류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광소재 연구` 등 소재기술 7건 △`뇌신경을 모방한 차세대 컴퓨팅소자` 등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창의과제 8건이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기초과학 △소재기술 △정보통신기술(ICT) 융합형 창의과제 3대 분야에서 10년간 총 1조5000억원을 출연해 국가 미래기술을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강헌 서울대 교수가 제안한 얼음화학이라는 새롭고 혁신적인 과제가 뽑혔다. 소재 분야는 희토류를 사용하지 않고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광전자 소재 개발(경희대 유영민 교수) 등 국가기술 발전의 근간이 되는 분야의 연구과제가 선정됐다. ICT 창의과제 분야는 뇌신경을 모방한 차세대 컴퓨팅소자 연구(서울대 이종호 교수) 등이 이름을 올렸다.

과제 선정에는 국내외 저명 교수와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심사와 해외석학 자문평가. 현장실시 등을 거쳤다. 삼성은 과제의 독창성과 혁신성, 연구계획의 적절성, 연구역량을 중점 평가했다. 지원금액은 과제별 특성과 연구기간에 따라 상이하다.

기초과학 심사위원장으로 참여한 고등과학원 김두철 교수는 “창조적이고 도전적인 과제를 선정한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삼성그룹은 애초 기초과학, 소재기술,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창의과제 등 3대 분야에 10년간 총 1조5000억원 규모를 출연해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을 설립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미래창조과학부와 의견 조율 과정에서 기초과학 분야를 지원할 5000억원 규모의 `미래기술육성재단`을 설립하고, 소재기술과 ICT 분야에 투자할 `미래기술육성기금` 1조원을 조성하는 것으로 안을 수정했다.

삼성은 미래기술육성사업이 재단과 센터로 이원화됐지만 애초 약속한 대로 동일한 기준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차기 사업은 다음 달 20일까지 과제를 접수하고, 내년 1월에 서면심사를 진행한다. 앞으로 과제심사는 학사 일정과 연계해 매년 2회 이뤄질 예정이다.

<표2.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소재기술 및 ICT융합창의 선정 12개 과제(센터사업) / 연구책임자 가나다순>


표2.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소재기술 및 ICT융합창의 선정 12개 과제(센터사업) / 연구책임자 가나다순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얼음화학·희토류없는 광소재 등 27개 1차 지원과제 선정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얼음화학·희토류없는 광소재 등 27개 1차 지원과제 선정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