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현재 국유지에서 활용중인 산림 정보통신기술(ICT)서비스를 사유지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민간 개방·공유 계획을 마련하고, 20일부터 본격 시행에 들어간다.
산림 ICT 서비스는 조림·벌채 등 숲 가꾸기 사업을 포함한 산림자원 보호 및 경영 전반에 대한 현장 업무 효율화를 위해 도입한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워크 구현 서비스`로, 현재 국유지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간벌 후 남은 원목 길이와 직경을 자로 측정해 재적을 계산하는 생산재 검척 작업은 생산 목재를 직접 재고 수기로 기록하던 기존 방식에 ICT 서비스가 접목돼 작업 속도와 정확도가 크게 향상됐다.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어 생산재 검척 전문 요원에게 사진을 전송하면 결과 값을 다시 이메일로 송부받아 현장 작업에서 즉시 활용하는 방식이다.
작업 속도는 기존 수 일에서 수 시간으로 크게 단축됐고, 정확도도 95.4%로 크게 높아져 현장에서 호응도가 높다.
산림청 산하 국유립 관리소는 지난해부터 `산림 ICT 서비스`를 현장 업무에 적용해 전체 업무의 절반 이상을 처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산림청은 20일 대전 산림조합중앙회에서 `산림 정보통신기술(ICT)서비스 공유·개방 설명회`를 갖는다. 산림 ICT 서비스 활용 방법과 서비스 개방·공유에 대한 세부 추진 계획이 발표된다.
이규태 기획조정관은 “일선 직원의 현장 소통과 협력을 위해 기획된 산림 ICT 서비스가 민간에 개방되고 확대되면 산림분야 신산업 창출 뿐만 아니라 IT 분야 인력의 산림 분야 진출까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