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개발특구가 올해로 40주년을 맞았다.
사람 나이로 치면 `불혹(不惑)`인 셈이다. 어떤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을 만큼 성장한 대덕특구 중심에는 연구단지가 있다. 정부가 40년 전 과학입국과 기술 자립화를 목표로 대전 유성에 조성한 대덕연구단지는 `국가 과학기술 1번지`로 통한다.
지난 40년간 정부출연연구원이 밀집한 연구단지는 국가 성장을 견인하는 주춧돌 역할을 해왔다. 우리나라가 세계 5대 원자력 대국으로 성장하고, 휴대폰 강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도 연구단지에서 피땀 흘려 개발한 연구성과물이 뒷받침했기에 가능했다.
지난달 29일 박근혜 대통령이 대덕특구를 찾았다. 특구 40주년 기념식에서 박 대통령은 특구가 창조경제의 허브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특구의 기본 역할인 연구개발(R&D) 외에 기술 사업화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출연연이 응용 기술을 제공해서 중소·중견기업을 적극 육성하고 신산업과 신시장을 만들어달라는 주문이다.
사실 기술 사업화 활성화는 전 정부에서도 화두가 됐던 사안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을 설립해 기술사업화 매개체 역할을 하도록 하고, 연구소기업 육성을 내세워 기술사업화를 촉진시키려 했다. 정책 의도는 좋았지만, 성과 측면에서 보면 여전히 기대 이하다.
40주년 기념식장에서 만난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생각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최 장관은 출연연의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여전히 연구소들이 기술사업화에는 소극적이고 서로 눈치만 보고 있다며 걱정이다. 기술 개발도 중요하지만 상용화에 필요한 나머지 5%가 더 중요한 만큼 연구소가 중소·중견기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미다.
맞는 얘기다. 대덕특구의 중심축인 출연연의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 아무리 좋은 기술도 시장에서 팔리지 않고 기술로만 남는다면 큰 의미가 없다. 하지만, 정부의 연구원 평가 툴도 바뀌어야 한다. 현재처럼 연구성과 위주의 평가 시스템으로는 연구원의 기술사업화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기에 역부족이다. 연구성과물이 사장되지 않고 기업을 통해 꽃필 수 있도록 정부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때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