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샵메일처럼 이메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서비스는 세계 50여개국이 도입해 사용하고 있다. 독일, 미국, 오스트리아 등 선진국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이다.
우리나라와 가장 비슷한 형태의 사업을 추진하는 나라는 독일이다. 독일은 지난 2011년 5월 관련 법을 도입해 지난해 8월 `데메일(De-Mail)` 서비스를 시작했다. 보다 안전하고 법적 효력이 인정되는 전자문서 유통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사업에 나섰다.
독일 정부는 관련 기술규격을 만들고 관리감독을 수행하며, 유통을 담당하는 4개 중계자가 실제 사업을 수행한다. 데메일 계정, 전자우편함, 전송 서비스를 기본 제공하며 선택에 따라 신분증명, 기록, 문서보관 서비스도 가능하다.
오스트리아는 사업이 가장 활발한 나라로 평가받는다. 오스트리아는 전자정부 서비스의 일환으로 지난 2011년 사업에 나섰으며, 이미 50만명 이상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820만명의 총인구를 고려하면 보급률이 높다는 평가다.
우리나라와 달리 따로 주소를 만들지 않고 휴대폰 번호, 종전 이메일 주소 등을 등록해 활용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오스트리아 정부는 민간 활용에 초점을 맞춰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포스트매니저` 등의 서비스가 시장에서 각광 받고 있다.
미국에서는 미국우체국(USPS)이 EPM(Electronic PostMark)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민간 시장에서는 알포스트가 보급 범위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이스라엘은 발송인 인증과 무결성을 보증하는 온라인 우편서비스, 핀란드는 인증 우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NIPA 관계자는 “선진국 대부분이 우리나라 샵메일과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법적 효력이 있고 보안성 높은 메일의 도입은 이미 세계적인 추세”라고 말했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