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 공공정보 개방 컨트롤타워가 출범한다. 공공정보 개방이 정부3.0 정책에 따라 적극 추진되지만 대부분 공공기관 개별적으로 이뤄져 민간 활용이 저조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안정행정부는 국무총리 소속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출범을 골자로 한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활성화 기본계획`을 10일 발표했다. 위원회는 정부3.0 핵심과제 중 하나인 공공데이터 관련 정부 시책과 계획을 심의·조정하고 추진상황을 점검·평가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한다.
위원회는 국무총리와 민간위원장이 공동으로 이끈다. 민간위원장에는 김진형 KAIST 교수가 선임됐다. 기획재정부·미래창조과학부·교육부·안전행정부·문화체육관광부·보건복지부·국토교통부·산업통상자원부 등의 장관도 참여한다. 충청남도와 전라북도 지사, 대구광역시장, 광주북구청장, 대전서구청장, 한국정보화진흥원장, 한국인터넷진흥원장, 지역정보개발원장도 위원이다. 민간전문가 16명도 위원회 활동을 하게 된다. 위원회 산하에 실무위원회와 분야별 전문위원회도 설치한다.
위원회는 현재 16% 수준인 데이터 개방율을 2017년까지 60%인 1만2654종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기상·특허·교통 등 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15대 전략분야를 선정, 우선 개방한다.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예산도 확대한다. 품질·표준화, 법·제도, 평가, 공공 빅데이터. 이용활성화 등 분야별 정책 현안을 해결할 대안을 도출한다.
유정복 안행부 장관은 “공공데이터 전략위원회가 출범하면서 공공데이터 개방·활용 정책을 위한 추진계획과 체계가 정립됐다”며 “정부3.0의 실질적 구현을 위해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가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위원회에 참여하는 위원 구성을 놓고, 형식적인 위원회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위원회에 참여하는 8개 부처 장관들과 지자체 단체장 등 대부분이 공공정보 개방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바쁜 업무일정으로 실질적인 논의가 이뤄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국무총리 소속 관련부처 장관들이 참여하는 국가공간정보위원회가 대표적인 사례다. 국가공간정보위원회는 위원인 각 부처 장관들의 업무 일정 등으로 대부분 서면으로 논의가 이뤄진다. 한 전문가는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반드시 실무조직을 갖춰야 한다”고 전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