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이성균 전 산학연협력기술지주회사 대표 "성공스토리 없어 아쉬워"

대학기술지주회사 유명무실 원인은

지난 5년간 산학연협력기술지주회사 협의회장으로 재직했던 이성균 한양대학교 기술지주회사 대표가 돌연 사임했다. 이 대표는 사임사에서 “협의회장으로 대학기술사업화의 성공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지만 아직도 뚜렷한 성공스토리를 만들지 못해 못내 아쉽다”고 말했다. 과연 어떤 어려움이 기술지주회사의 발목을 잡은 것일까.

[이슈분석]이성균 전 산학연협력기술지주회사 대표 "성공스토리 없어 아쉬워"

이 대표는 단순 아이디어 기반 창업 활성화는 더 이상 의미가 없으며 이를 기술 사업화로 적극 연계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대학 기술 사업화는 반드시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제는 단기적인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술 사업화 활성화 및 선순환 인프라를 조성하는 데 관심을 기울여 기술창업이 겉돌지 않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막대한 국가연구비가 투입된 대학 연구 성과 활용과 청년 창업에 대한 대학의 사회적 책무,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정부와 대학 당국이 기술지주회사에 대한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GDP 대비 R&D 예산이 세계 4위인 R&D 강국이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발표한 2012년도 국가 주요 R&D 사업비는 전년 대비 7.6% 증액된 총 10조6550억 수준. 하지만 국가 R&D 지원은 선진국 추격형의 R&D로 `기술의 창출`과 `창출된 기술의 사업화`가 단절돼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 왜곡되고 실제 상용화로 이어지는 사례가 10% 수준에 불과하다.

이 대표는 “기술지주회사는 대학 재정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 창조경제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성공 사례가 나오기 위해 제도적인 뒷받침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정부의 자금지원이 현재의 기술개발(R&D) 중심에서 사업화연계기술개발(R&BD)로 전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정부의 R&D 자금이 한 해에 수조원에 이르지만 실제 상용화로 이어지는 경우는 10% 수준에 불과하다”며 “현재의 R&D 자금을 우수한 대학 기술 상용화를 위해 설립된 기술지주회사로 돌리면 뚜렷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우리나라 많은 벤처기업들이 그렇듯이 기술지주회사 자회사도 벤처캐피털 등 외부자금 유치가 힘들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대학이 갈 길은 기술지주회사를 중심으로 하는 기술사업화이고, 경제 지속 성장을 위한 새로운 성장 동력 또한 대학과 연구소의 공공 기술 사업화에서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허정윤기자 jyhu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