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가 3월께 3D 프린팅 활성화 정책을 발표하고 전폭적인 지원에 나선다.
우리가 강점을 가진 잠재력 큰 차세대 먹거리 분야지만 산업구조가 열악하고 글로벌 경쟁력도 취약하기 때문이다. 산업부는 제조(하드웨어) 분야 응용과 수요 창출을, 미래부는 소프트웨어(SW) 지원을 책임진다.
22일 정부 당국에 따르면 산업부와 미래부는 이르면 3월 국가 3D 프린팅 활성화 정책을 발표한다. 두 부처는 최근 협력을 위한 구두 협의를 하고 다음 달부터 논의를 구체화기로 했다.
산업부는 최근 열린 `제1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3D 프린팅 산업 육성을 주요 과제 중 하나로 보고하고 관련 발전정책을 내놓기로 했다. 산업부는 자체 수립한 정책에 미래부가 담당하는 SW 분야 지원정책을 더해 범부처 차원의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3D 프린팅 분야 인력 양성, 창업, 중소기업 지원 등을 위해 교육부·중소기업청 등과도 협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구체화하지는 않았지만 산업부는 3D 프린팅 산업 발전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재 등 기반 기술과 이를 응용한 수요 창출에 초점을 맞춰 정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3D 프린팅 분야 원천 기술 확보와 함께 확산의 관건으로 꼽히는 신소재 확보에 힘쓴다. 응용 및 수요를 창출하고자 올해 20억원을 투입해 `3D 프린팅 기술 기반 제조혁신지원센터`를 구축한다. 상반기 주관기관 선정을 거쳐 하반기 센터를 가동한다. 가전 등의 분야에서 3D 프린팅을 활용한 시범 사업도 발굴할 계획이다. 심진수 산업부 전자전기과장은 “폭넓은 차원에서 정책을 마련해 3D 프린팅 산업 발전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미래부는 올해 3D 프린팅 분야 지원 예산으로 68억원을 확보했다. 3D 프린팅 결과물인 입체 조형물의 완성도를 높이는 펌웨어 등 SW 수준 개선에 정책 초점을 둔다. 특히 올해는 치아·보청기 등 의료 IT분야 3D 프린팅에 집중 투자한다. 아직 세계적 기업과 비교해 우리나라 3D 프린팅산업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한 분야에 집중해 단기간에 글로벌 수준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막연한 일반 기술 보급은 자칫 국내시장에서 업계 간 출혈경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했다.
박윤규 미래부 정보통신산업과장은 “자체 분석 결과 의료산업에서 3D 프린팅이 가장 빠르게 자리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며 “최근 우리나라에 의료관광객이 많이 오고 있는 만큼 이 분야에서 성과물을 보여준다면 관련 산업 경쟁력이 높아지는 동시에 3D 프린팅 산업 전체 인식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 두 부처가 3D 프린팅 산업 지원에 나서는 것에 업계는 매우 반기는 모습이다. 특히 SW 육성 필요성에 공감한다. 현재 국내 대부분의 3D 프린팅 업계가 이용하는 펌웨어는 외국업체가 개발한 오픈소스로 유료화 등 폐쇄형으로 전환하면 국내 산업 경쟁력 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정기철 대덕대 컴퓨터전자과 교수는 “3D 프린터는 하드웨어와 동시에 SW가 뒷받침돼야 한다”며 “단순한 3D 프린팅 기술로는 앞서가는 선진 기업과 대거 뛰어들고 있는 중국업체 사이에서 경쟁력을 지닐 수 없는 만큼 우리만의 경쟁력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준배·이호준기자 joon@etnews.com
-
이호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