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포럼]클라우드 PVR시대 저작권 문제부터 풀자

지난해 9월 12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국제방송콘퍼런스(IBC)에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개인녹화영상장치(PVR) 생산업체로 잘 알려진 티보(TiVo)가 중대발표를 했다. 기존에는 시청자가 원하는 TV 프로그램을 가정용 PVR에 녹화했지만 앞으로는 시청자가 원격 공간에 설치된 클라우드 컴퓨팅 공간에 저장하는 이른바 중앙집중식 `클라우드 PVR`를 상용화해 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에 보급하겠다는 것이었다.

[창조경제포럼]클라우드 PVR시대 저작권 문제부터 풀자

클라우드 PVR는 가정용 PVR보다 진보한 기능을 갖고 있다. 시청자가 지하철이나 버스로 이동하거나 여행 중 어디서라도 TV 프로그램을 재생해 볼 수 있다. 과거 PVR가 언제든지 재생해 볼 수 있는 이른바 `시간이동(time-shift)` 개념이었다면 클라우드 PVR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공간이동(place-shift)` 개념이 추가돼 그 기능과 편의성이 더욱 확장됐다. 이미 유럽과 미국에서는 수많은 케이블 방송 사업자가 클라우드 PVR 서비스를 시청자들에게 자유롭게 제공하고 있다.

아이러니한 것은 획기적인 TV 녹화재생 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프로그램 저작권과 판권을 둘러싼 법적 논란은 예외 없이 이어져 왔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프로그램 제작사와 방송사들이 클라우드 PVR 서비스를 처음으로 도입한 케이블비전(Cablevision)을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그러나 2008년 미국 법원은 클라우드 PVR를 이용해 녹화, 재생하는 주체가 어디까지나 개별 시청자며 이는 개인차원의 일시적인 녹화행위로 간주되기 때문에 저작권 침해가 아니라고 판결했다. 미국 대법원도 제작사와 방송사들이 낸 소송을 기각하면서 클라우드 PVR는 종래의 비디오테이프를 사용한 VCR나 하드디스크를 사용한 PVR과 마찬가지로 개인차원의 TV 프로그램 녹화재생 행위며 결코 저작권 침해가 아니라는 하급법원의 판결을 재확인했다.

법적분쟁이 마무리되자마자 미국에서는 케이블비전과 티보에 뒤이어 케이블 가입자 수 1위를 지키고 있는 컴캐스트가 클라우드 PVR 보급에 나섰다. 스위스와 네덜란드, 포르투갈 등 유럽각국도 클라우드 PVR 서비스를 본격화했다.

이처럼 획기적인 방송기술인 클라우드 PVR 서비스가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확산되고 제대로 정착되려면 무엇보다 저작권 소송이나 프로그램 공급 거부 등을 무기로 신기술의 확산을 저지하려는 영화사나 프로그램 제작사들이 이를 올바르게 이해해야 한다. 또 방송사업자들은 녹화한 프로그램을 시청자가 틀어볼 때마다 새로운 내용의 협찬광고가 방영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책을 콘텐츠 저작권을 가진 방송사나 제작사 측에 제시해 이들의 협조를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

돌이켜보면 40여년 전 최초의 VCR인 소니 베타맥스(Betamax)가 등장했을 때에도 영화사와 프로그램 제작사들이 무단복제를 우려하며 저작권 침해를 주장했지만 막상 VCR가 널리 확대 보급되면서 수많은 TV 프로그램과 영화들이 비디오테이프로 제작되고 비디오 대여업이 활성화됐다. 결국 막대한 이익을 챙긴 것은 프로그램 제작사와 영화사였다.

클라우드 PVR의 보급 확산 역시 제작사와 영화사, 광고주 모두에게 새로운 이윤을 추구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첨단 클라우드 컴퓨터 기술과 방송 기술을 결합한 클라우드 PVR의 보급과 확산은 방송업계는 물론이고 컴퓨터와 방송장비 제조업, 콘텐츠 산업 등 관련업계의 발전에도 촉매제 역할을 한다. 눈앞에 닥친 클라우드 PVR 기술 보급과 상용화를 위해 우리 방송업계도 선진국 업체들과의 경쟁에 더욱 적극적으로 뛰어들어야 한다.

김헌식 미국 콜로라도대학 방송학과 교수 hun.kim@colorado.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