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람]이재관 자동차부품연구원 본부장

“교통약자가 마음껏 돌아다닐 수 있는 사회, 교통사고 없는 사회를 만드는 데 밑거름이 되겠습니다.”

[이사람]이재관 자동차부품연구원 본부장

이재관 자동차부품연구원 스마트자동차기술연구본부장은 자율주행자동차 기술개발의 중요성을 설명하며 그 이유로 ‘복지’를 첫손에 꼽았다. 자율주행 자동차가 고령자,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고 자동차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말이다.

이 본부장은 “현재 개발 중인 스마트카의 최종 목표는 교통약자의 자동차 운전을 적극적으로 돕는 자율주행차”라며 “예정대로 자율주행차 및 관련 도로 시스템이 개발되면 OECD 평균의 두 배가 넘는 우리나라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2025년까지 절반 이하로 떨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교통사고 사망자의 90%가 차량 결함이나 외부 요인보다는 운전자 부주의로 발생하고 있다는 통계가 이 같은 전망을 뒷받침한다.

이 본부장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메가 프로젝트 ‘자동차 전용도로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사업’에서 기술 실무를 총괄하는 기획위원을 맡고 있다. 우리나라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정책의 기술적 밑그림을 그리는 중책이다. 이 사업은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다.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개발은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위해서도 중요하다. 자율주행차의 미래를 꿰뚫어본 세계 자동차 및 부품업체들이 앞다퉈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2020년이면 실제 도로에서 자율주행차가 달릴 가능성이 높다.

그는 “자율주행차는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유형의 자동차기 때문에 우리가 관련 특허와 표준, 원천기술 등을 선점해야 한다”면서 “그렇지 못하면 부품 산업이 종속되는 것을 넘어 국내 자동차 산업 자체가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위기를 초래하지 않기 위해서는 더 이상 선진 업체를 따라가는 전략이 아니라 우리가 앞서 과감한 투자를 할 필요가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특히 한두개 대기업에 집중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중소·중견기업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국가가 나서 정책적으로 키워준다면 ‘선도자(퍼스트 무버)’ 지위도 넘볼 수 있다고 봤다.

기존 대기업 중심의 수직계열형 사업모델보다는 중소·중견 기업을 중심으로 한 수평분업형 산업 생태계가 자율주행차 시대에 더 어울리는 모델이라는 것이다. 다른 부처와 자율주행차 개발 사업이 중복되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지능형교통시스템(도로)이나 카셰어링, 자동차IT 융합 등이 타 부처 과제인 반면에 우리가 추진하는 과제는 자율주행차 중에서도 핵심 부품을 개발하는 것”이라면서 “새로운 부품 산업 기득권을 선점하기 위해 세계 각국 정부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용주기자 ky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