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테크노파크(TP) 역할과 기능 재편

[이슈분석]테크노파크(TP) 역할과 기능 재편

산업부가 지역산업 육성 거점 역할을 하고 있는 테크노파크(TP)의 역할과 기능을 재편한다.

창조경제시대를 맞아 TP를 지역의 창조경제 거점기관으로 만들기 위해서다. TP별 지역 대표브랜드를 육성하는 등 크게 세 가지를 추진한다.

먼저 TP가 지역산업기술 창조혁신 중심지로 거듭나기 위해 거점기능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지자체와 지역유관기관, TP가 함께 운영 중인 지역산업협의체를 체계화해 지역창조경제 확산에 기여케 한다. 협의체는 신규과제를 발굴하고 과제우선 순위를 조정하며 유관기관 패키지형 프로그램 개발 등을 추진한다. 또 지역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축적, TP가 기업지원통합플랫폼 기능을 수행하게 할 방침이다. 기존 지원시스템도 개선해 지역기업 특성과 기업지원 이력 등 축적된 정보가 기업지원 서비스와 연결이 가능하게 한다.

둘째, 각 지역에 맞는 자율적 특화기능을 강화한다. TP별 여건에 맞는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원장 성과와 연계한다. 여건에 맞는 자율적인 특화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TP별 지역 대표브랜드도 육성한다. TP가 보유하고 있는 장비 중 활용도가 높은 장비를 중심으로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공동활용 거점센터를 지정, 육성한다. 지역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혁신산단, 종합비즈니스센터 등 수요가 있는 지역에 TP 분원도 설치한다.

셋째, TP의 경영실적 평가를 개선해 인센티브와 패널티를 분명히 한다. TP별 경영실적에 따른 직원 성과급을 차등 지급할 수 있게 하고 대신 실적미흡기관은 벌칙을 준다. 또 TP직원 역량 강화를 위해 소양·직무 등 교육프로그램을 정례화하고 재무·회계 등 전문 직무 교육도 강화한다.

TP는 인천과 경기, 대구, 경북, 광주, 충남 6곳에 처음 생긴(1997년 12월) 이후 부산, 포항, 충북, 전북, 전남, 강원, 경남, 울산에도 만들어졌다. 경기대진과 서울, 대전, 제주 등 4곳은

2005년 이후 민간주도형으로 설립됐다. 애초 TP는 1998년 후반 지역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기업보육과 기술지원 등 지역 산업·기술 육성의 거점 기능을 목표로 출발했다. 하지만 새로운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TP의 역할과 기능, 조직 체계, 예산 확보 등은 달라지기 일쑤였다.

2000년대 중반에는 지역산업의 기획과 평가 기능을 맡아 온 전략산업기획단과 `선수 심판론`으로 갈등을 겪었다. 효율화를 명분으로 전략산업기획단을 흡수 통합했지만 평가 기능은 늘 논란의 대상이었고, 붙였다 뗐다를 반복하다 결국 광역선도산업지원단의 후신인 지역사업평가원으로 넘어갔다. TP는 출범 이후 해마다 사업 규모와 조직이 확대됐다. 몇몇 곳은 여러 특화 부속센터를 거느리며 인원이 200명을 넘기도 했다. 하지만 MB정부 들어 부실 운영 사례가 드러나고, 특히 광역선도산업 육성사업 추진과 광역선도산업지원단이 출범하면서 TP의 역할과 규모는 다시 축소되는 과정을 겪었다.



표-전국 18개 테크노파크 지정 현황

[이슈분석]테크노파크(TP) 역할과 기능 재편


세종=방은주기자 ejbang@etnews.com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