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대학 때문에 큰일 났습니다.”
얼마 전 만난 한 지방대학 한 교수의 하소연이다. 그는 기자를 보자마자 “우리 대학에 비상이 걸렸다”며 어두운 표정을 지었다. 사정은 이랬다. 교육부는 다음 달 초 ‘링크(LINK)’라 불리는 대형 산학협력사업의 2차년도 접수를 마감한다. 문제는 1차년도와는 달리 수도권 명문대들도 이 사업에 뛰어든다는 것이다. 사업규모는 크게 늘지 않았지만 사업에 참여하려는 대학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존에 참여한 지방대의 탈락이 많을 것을 우려한 목소리다.
링크에 선정된 대학은 연 평균 40억원(4년제)가량을 지원받는다. 재정이 빈약한 지방대에게는 ‘큰 떡’인 셈이다.
지방대가 링크에 목을 매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대학구조조정이다. 최근 교육부는 대학구조개혁 추진 계획을 내놨다. 모든 대학을 3년마다 평가해 2023년까지 대입 정원을 16만명 줄이는 게 골자다. 향후 10년간 정원 2000명인 대학 80개가 없어지는 셈이다. 이런 회오리 속에서 링크 사업에 선정되면 그만큼 대학 경쟁력을 인정받게 된다. 지방대가 이 사업에 사활을 거는 이유다.
학령인구 감소를 감안하면 정부의 대입 정원감축은 불가피하다. 문제는 그 직격탄을 지방대가 맞는다는 점이다. 교육부는 “기존 정량지표 외에 교육과정에 대한 정성평가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지방대에 불리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지방대들은 수도권과 분리하는 등 지방대가 납득할 수 있는 평가체계를 요구하고 있다.
지역에 있는 대학의 존재가치는 대학 그 이상이다. 지역 인재 양성은 기본이고 교육·연구와 관련한 최고의 인적, 물적 자원 집결처다. 산학협력 주체로서 지역기업의 든든한 기술파트너다. 고용과 소비의 상당부분을 담당하는 지역경제 활력소이기도 하다.
대학 구조조정은 지방대 죽이기가 되서는 안 된다. 오히려 특성화 등으로 지방대의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것이어야 한다.
전국팀 방은주기자 ejb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