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은 5000만 국민의 출생에서 사망까지 건강검진, 진료자료 등 1조3000억 건에 이르는 엄청난 규모의 ‘빅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공단은 방대한 빅데이터를 활용, 고혈압·당뇨·대사증후군 등 개인별 건강상태에 따라 맞춤형 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담 조직도 구성했다. 분야별 전문가 40여명으로 구성, 공공기관 최초 ‘빅데이터운영실’을 꾸렸다.
초대 빅데이터운영실장을 맡은 신순애 박사는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대국민 개인 맞춤형 건강정보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며 “다양한 개인별, 집단별 맞춤형 건강서비스를 개발해 국민 건강을 증진시키고, 사회적 편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신순애 실장과의 일문일답.
-이번 ‘국민건강 주의 예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하게 된 결정적인 배경은?
▲조류인플루엔자, 신종인플루엔자, 홍역 등 신종 감염병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한 국민 불안감도 고조되고 있다. 기존 역학조사를 통한 대응에는 한계가 분명하다. 보다 빠르게 사전예보를 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했다. 특히 질병 예보는 감염별 확산을 늦출 수 있고, 국민의 의료비도 줄일 수 있어 우선 추진하게 됐다.
-프로젝트를 하며 가장 힘들었던 점은?
▲지식 체계를 만드는 작업이다. 지식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선 질병별 임상 전문가, 교수 등 분야별 전문가 조언을 통해 모델링하고 검증해야 한다. 실제 최종 선정한 5개 질병 가운데 천식은 사실상 이번 시범 사업에서 제대로 된 예측 데이터를 확보할 수 없었다. 천식과 같은 만성질환은 국민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활발하게 반응하지 않았다. 급성질환과 만성질환의 데이터 수집 체제를 다르게 가져가야 한다는 것을 시범 사업을 통해 알게 됐다.
-해외 벤치마킹 사례는?
▲구글의 독감 트렌드 등이 있지만 국내 상황하고는 달라 참고하긴 힘들었다. 특히 구글은 주 단위로 지역 예보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선 전국 17개 광역시·도를 기준으로 할 만큼 데이터의 차별성이 없다. 인접 지역을 묶어서 보다 큰 범위의 지역 구분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서비스 고도화 계획은?
▲오는 4월부터 서비스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현재 관련 하드웨어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서비스가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면 기상청 등 대기오염 데이터와도 결합해 부가 서비스를 준비할 계획이다. 생애주기별 건강 주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DB) 개선 작업도 지속적으로 해나갈 것이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
-
성현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