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신재생·ESS 융합 포럼]전기차, 가정의 동력원 멀지 않았다

국내 처음으로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기반의 전기자동차와 에너지 저장장치(ESS) 융합을 통한 시장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신재생에너지와 연계한 충전소 등 전기자동차 관련 각종 인프라 서비스, 배터리 등 부품까지 신규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게 업계 공통된 시각이다. 여기에 전기차를 집단으로 관리하면 국가 전력 수요공급까지 제어할 수 있다.

18일 ‘ESS-RE-EV 산업 활성화 대정책 포럼’에서 송진수 ESS·신재생융합포럼 의장은 “ESS와 신재생에너지, 전기차는 우리가 추구하는 창조경제 핵심으로 글로벌 시장 선점에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들 간 융합은 친환경 전기차 시대를 여는 것뿐만 아니라 균형있는 전력수급과 전력계통 안정화 신재생에너지 기반 분산형 발전까지 활용가치가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

전기차에서 사용하고 남은 전력을 주택의 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V2H(Vehicle to Home)’가 가능해지면서 전기차를 ESS로 활용할 수 있다. 전기차를 집단 관리한다면 국가 전력망의 안정적인 수요공급은 물론이고 화력 등의 추가 발전소 건설을 피할 수 있다. 이는 전기차 한대가 보유한 전력량은 한 가정에서 4일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과 맞먹기 때문이다.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이나 가격이 저렴한 심야 전력을 전기차에 충전한다. 이후 전력 수요가 많을 때나 정전 등 비상 발생 시 주택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기요금이나 전력수요를 실시간 파악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을 통해 자동으로 상호 전력 교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황우현 한국전력 스마트그리드·ESS 사업처장은 “전기차는 충전인프라와 V2G가 보편화되면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ESS의 활용이 크게 늘 것”이라며 “수십·수백대의 전기차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전력 수요공급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융합을 통한 활용가치를 높이는 다양한 솔루션 사업모델도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황호철 시그넷 사장은 “미국과 일본에서는 ‘신재생+ESS+충전기’ 융합 모델부터 유통업과 연계한 충전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우리 강점인 ICT를 활용한다면 충전기나 배터리 등의 하드웨어뿐 아니라 각종 서비스 모델을 개발해 세계 시장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