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미래 `창의자본`]원천기술이 창업이 되기까지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대학 창업, 취업 통합조직 현황

과학기술 혁신을 활용한 부의 창출, 지금 우리나라는 창조경제의 핵심인 이 과제에 몰두해 있다.

그러나 여전히 그 구체적 방법을 찾는 일은 더디게 진행되고 있고 창조적인 연구개발 전진기지로 대학과 출연연구소의 역할은 그만큼 중요해지고 있다. 대학과 출연연이 원천기술 사업화로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국가기술 혁신의 주역이 돼야 하기 때문이다. 혁신적 원천기술은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로 발전되고 이를 통해서만 그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게 되지만 누구라도 쉽사리 원천기술의 사업화에 뛰어들거나 투자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대한민국 미래 `창의자본`]원천기술이 창업이 되기까지

연구자가 성공적으로 연구를 마친 원천기술에 누군가 특허나 라이선스를 받으려 한다면 이는 연구자에게는 매우 신나는 상황일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기업 대부분은 그들이 구매하기 이전에 원천기술이 최대한 많이 개발되고 검증되기를 원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업은 개발이 완료된 시제품이나 검증된 베타테스트 결과를 요구한다. 그러나 이들이 원하는 수준의 시제품 개발 등은 원천기술을 개발한 연구자 혼자 힘으로는 불가능하다. 상업적으로 성공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시제품을 실용적이고 생산이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이는 대학이나 정부출연연구소의 역할을 넘어서는 것이며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해서만 가능하다. 다듬어지지 않은 원천기술이 먹거리가 되기 위해서는 연구자뿐만 아니라 양산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개발자, 사업가 및 투자자의 협력과 팀워크가 중요하다. 특히 초기에는 기술을 개발한 연구자의 기술 열정과 이를 이용한 주도적인 팀 구성 노력이 필수다.

기술력이 바탕이 된 기술창업은 산업구조 고도화 및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핵심 정책이며 연구개발자의 역할이 중요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대학이나 정부출연연구소 등은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직업군으로 위험회피 성향이 강해 본업을 유지하면서 창업을 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 교수나 연구원의 휴직·겸직 제도 완화나 인센티브 확충에도 국내에서의 창업은 단계별 출구전략이 다양하지 못해 교수나 연구원이 본연의 업무로 복귀하는 과정이 매끄럽지 못하다.

대학이나 정부출연연구소에서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를 위해서 참여할 수 있는 연구원으로는 대학원생이나 학생연구원의 활용을 적극 고민해야 할 때라 생각된다. 이들은 사업화하고자 하는 기술의 전문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연구자와의 관계가 더욱 원활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원천기술의 활발한 사업화를 위해서는 대학의 창업 활성화 지원정책이 기술창업을 우대하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며 교수나 연구원을 위한 창업지원 정책에 대학원생이나 학생연구원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 조지아 공대에서는 박사급 연구원들의 연구 성과를 사업화하기 위해 MBA 학생이나 주위의 로스쿨 학생이 함께 팀을 이루는 ‘타이거(Technological Innovation:Generating Economic Results)’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원방안은 성공적 기술창업을 위해 우리도 도입을 고려해 볼 만한 것이다. 또 석〃박사 과정 일부에 창업을 전제로 교수나 연구원 및 창업전문가의 멘토링과 연계해 창업 아이디어 타당성 검증 후 집중 육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이때 대학이나 연구소가 일정 지분을 갖고 직접 참여하여 창업 과정을 지원하고 기관과의 지속적인 협력에 바탕을 두고 사업의 성공을 지원함이 타당할 것이다.

다른 예로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AIST)는 산학연이 공동으로 기업 애로기술과제를 발굴하고 이와 연계해 석〃박사 과정의 연구인력을 공동 선정, 채용한다. 과제가 종료되면 관련 IP를 포함한 연구성과와 함께 인력을 기업으로 이전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 확보와 인력 부족을 해소하고 대학이나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성과 활용률을 제고하는 제도다. 창업이 성공률이 낮고 실패로 생기는 후유증이 크다는 점을 감안할 때 우리의 젊은 과학자를 위해 체계적인 창업 지원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에릭 폰 하펠 MIT 교수는 ‘혁신의 민주화’에서 “누구나 혁신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많이 있더라도, 그 아이디어가 창조경제의 틀 속에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도록 하기 위해선 다양한 방법의 적극적인 지원이 뒤따라야만 할 것이다. 혁신의 원천기술은 의욕만으로 무르익는 것이 아니라 조직이나 잘 갖춰진 플랫폼 하에서 열매를 맺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문길주 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