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년을 맞은 교수의 산업체 파견, 산업계 주도 협력사업 확대, 실용지표 포함한 교수 평가체계 개선 등을 담은 공과대학 혁신방안이 확정됐다.
정부는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제37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창조경제 전진기지화를 위한 공과대학 혁신방안’을 확정했다.
이번 혁신방안은 지난 10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 보고된 내용과 권역별 공청회 의견 등을 종합한 것이다.
정부는 대학 재정사업 평가에 있어 기존 SCI 논문실적 중심의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기술료 등 실용적 지표를 포함하고, 교수 채용이나 업적평가 기준에도 산학협력·교육활동을 반영하는 등 현장지향성을 높이기로 했다.
창의력 있는 공학인력 양성을 위해 기초·전공 비중 강화, 학제간 융합교육 활성화, 실험·실습 인프라 강화와 기업 참여 확대도 추진할 계획이다. 큰 폭으로 증가하는 여성 공학인재의 리더십과 연구·실무 역량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실용성 있는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연구년 교수 기업체 파견 확대, 우수 연구성과의 활용성 확보를 위한 후속 연구 지원, 연구성과를 활용한 연구소기업 설립 확대 등도 추진한다.
정 총리는 “공과대학 혁신방안은 공과대학이 교육과 연구의 실용성과 현장성을 되찾고 미래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종합적인 대책”이라며 “산학연과 긴밀한 협업으로 공학교육이 실질적 창조경제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라”고 관계부처에 지시했다.
정 총리는 또 “공대생과 적극적인 소통을 실시해 실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학생이 무엇을 원하는지 듣고 분석하는 노력도 병행하라”고 당부했다.
세월호 침몰 사고의 수습대책과 관련, “‘안전혁신 마스터플랜’ 마련 시에는 민간의 안전전문가를 적극 참여시켜 혁명적 발상으로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정 총리는 지난 21일 박근혜 대통령이 지시한 사고수습 대책을 언급하며 이렇게 말했다.
박 대통령은 당시 철저한 책임규명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 등을 지시했으며, 정 총리는 후속 대책으로 재난관리 시스템의 재설계와 안전의식 개혁을 포함한 ‘안전혁신 마스터플랜’ 수립을 관계부처에 주문했다.
정 총리는 또 “온 국민과 함께 한 사람의 생존자라도 돌아오기를 간절히 염원하고 있으나, 구조 소식이 없어 안타깝고 초조하다”며 “오늘 소조기에 조류 상황이 양호하다고 하므로 총력을 기울여 구조활동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관계부처는 비통함에 잠긴 가족에게 성심을 다해 어려움을 최대한 해결해 조금이라도 고통이 덜어질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 하라”고 지시하고 “이번 사고를 계기로 공직자가 솔선해 안전규범이 바로 서고, 실제 상황에서도 작동되는 사회가 실현되도록 뼈를 깎는 노력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