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인명구조용 위치추적 장치 적합성 인증기준 마련 시급"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A사 AIS MOB 적합성 인증 논란

‘해상 조난자 구조용 위치정보 송신장치(AIS MOB)’의 적합성 인증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세월호 사고에서 확인했듯이 촉각을 다투는 해상 조난사고에서 위치 파악이 안되면 구조는 물론 수색 활동까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개발된 AIS MOB 제품.
국내에서 개발된 AIS MOB 제품.

‘AIS MOB’는 해상 조난자(MOB:Man Over Board)가 발생할 때 조난자의 위치를 선박자동식별시스템(AIS)으로 파악해 해당 선박이나 인근 선박이 구조 또는 수색을 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내주는 장치다. 약 15㎝의 미니 손전등 크기로 구명조끼나 겉옷에 부착시켜 놓고 위급 상황 때 장치에 달린 안전핀만 뽑으면 위치정보와 조난 구조신호를 AIS에 전달한다.

유럽에서는 이미 상용화돼 맥머도의 ‘스마트 파인드’, 캔나드 마린의 ‘세이프 링크’라는 제품이 선원과 잠수부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선박IT 전문업체 A사가 2년 전 이 장치를 자체 개발해 제품을 내놨지만, 마땅한 인증기준이 없어서 국립전파연구원으로부터 적합성 인증을 받지 못했다.

이어 A사는 인증기준이 없을 때 받을 수 있는 ‘잠정 인증’을 신청했지만 전파연구원은 ‘선박의 항해관제를 위한 AIS 및 또 다른 구조통신에 간섭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부적합으로 판정해 통보했다.

국립전파연구원 측은 “해경, 국토부 등 관계부처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결정했다”며 “현재 IMO(국제해사기구) 등의 국제기준이 없고 국내 인증기준도 연구 중에 있어서 아직 시기상조”라는 견해다.

이에 대해 A사 관계자는 “해상에서 최소 수천, 수만명이 동시 다발적으로 이 장치를 작동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아주 미미한 간섭 영향을 이유로 부적합 판정을 내린 것은 납득할 수 없다”며 “AIS는 많은 선박이 왕래하는 항계 내에서 12.5W의 출력으로 사용 중이고, 우리 장치는 1W의 소출력으로 그것도 주로 항계 밖의 사고에 대비한 것이기에 간섭 영향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양측의 주장은 학계 등 전문가 사이에서도 찬반양론으로 갈라져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인증 시기상조론에 동조하는 측은 “간섭 영향뿐만 아니라 기기 오작동 우려가 있다. 좀 더 정확한 기준을 마련해 인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반면에 인증 필요성을 주장하는 측은 “AIS MOB의 통신 특성상 기존 AIS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인명 구조의 마지막 수단인 AIS MOB 인증은 어떤 상황에서도 최우선이 돼야 한다”는 견해다.

이 같은 엇갈린 의견과 별도로 학계와 연구계 등 전문가그룹 사이에서는 AIS MOB에 대한 국내 인증기준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에 힘을 싣고 있다. AIS나 기타 조난구조 통신에 대한 간섭 영향 논란을 넘어 세월호 침몰 사고에서 드러났듯이 해상 인명구조 및 조난자 수색에 필요한 장비라는 인식에서다.

최조천 목포해양대 교수는 “해상의 인명사고 증가는 사고 초기 조난 위치를 빨리 파악하지 못해 수색이나 구조가 지체되기 때문”이라며 “인명 구조와 수색에 필요한 AIS MOB는 인증기준을 서둘러 마련해 폭 넓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표-A사 AIS MOB 적합성 인증 논란

"해상 인명구조용 위치추적 장치 적합성 인증기준 마련 시급"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