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지신]유장렬 DGIST 초빙연구원·교수/미래부를 국가 R&D 유일 책임부처로 전환하자

국가 R&D의 중점투자방향을 설정하고 분야별 예산배분을 중장기 계획에 따라 집행하는 것은 한정된 R&D 재원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이를 위해 참여정부에서는 국가 R&D를 관장할 컨트롤타워로서의 혁신본부를 설치한 바 있으나 그 효과를 충분히 평가해 볼만한 시간적 여유를 갖지 못했다. 이명박정부는 혁신본부를 계승하지 않고 과학기술부(과기부)와 교육부를 통합한 결과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과학기술정책은 교육부의 시책에 매몰되는 결과를 빚었다.

[온고지신]유장렬 DGIST 초빙연구원·교수/미래부를 국가 R&D 유일 책임부처로 전환하자

정권 말기에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신설해 혁신본부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했으나 유명무실한 존재로 자리매김 한 바 있다.

박근혜정부는 과거 과기부와 정보통신부(정통부)의 통합 기능을 갖는 미래창조과학부(미래부)를 신설해 정부의 정책기조인 창조경제의 선도적 실천부처의 임무를 부여했다. 그러나 미래부조차도 과거 정통부의 논리가 과기부의 논리를 압도하게 되어 국가 R&D 주요 사업인 기초연구가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중장기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대한 지원이 취업률 제고 정책에 밀려나게 됨으로써 미래부의 국가 R&D 방향타 역할은 기초과학분야에서도 제대로 드러나지 않고 있다. 미래부는 여타 부처를 리드할 제도적 장치 부재로 인해 국가 R&D 사업에서 부처 이기주의적 현실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2000년 이래 국가 R&D를 관장할 수 있는 부처의 수가 증대됨에 따라 여러 부처에서 서로 유사한 R&D 사업계획을 경쟁적으로 하게 되고 이에 대한 부처 간 이해충돌은 상호 간 발목잡기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 부처에서 국가적 차원에서 필요한 주요사업을 추진하려고 하면 경쟁관계의 다른 부처에서 무용론을 들고 나와 무산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다부처 혹은 범부처사업 조차도 실질적으로는 나눠 먹기식 사업이 되어 부처 간 협력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이런 현실을 타파하기 위해 국가 R&D 중점투자방향과 예산배분을 담당할 컨트롤타워를 신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고, 조만간 어떤 형태로든지 설치될 것이 확실시 된다. 그러나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경우에서 경험한 바와 같이 컨트롤타워의 설치만으로 난맥상을 빚고 있는 국가 R&D 관련 제반 문제를 풀기는 쉽지 않은 듯하며 보다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과거 과학기술처 시절처럼 미래부를 국가 R&D 책임부처가 될 수 있도록 해 다른 부처는 각 부처의 전통적 고유사업에 따른 R&D 사업 외의 모든 신규 R&D 사업을 미래부에 이관하도록 함으로써 미래부의 범부처 R&D 리더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조치를 심각하게 고려해 봐야 할 것이다.

2년차에 들어선 박근혜정부가 성공적인 과학기술정책을 펴기 위해서는 미래부 내의 과학기술정책이 정보통신기술정책과 별도로 수행될 수 있는 보완책을 마련해 과학기술정책이 정보통신기술정책의 들러리가 되지 않게 해야 할 것이다.

미래부 이외의 부처에서는 해당부처 고유의 한정된 R&D 사업만을 관장토록 하고, 미래부가 국가 R&D 사업의 유일한 책임 부처가 되도록 해 과학기술입국의 전통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박정희 대통령이 우리나라가 세계무역순위 9위를 달성한 현재에도 추진하기 어려운 과감한 과학기술중심 정책을 반세기 전에 펴 과학기술입국의 전통을 세울 수 있었던 것은 국가 R&D 사업의 책임부처를 명확히 한 효과에 힘입은 바 크다. 이를 박근혜정부가 계승하기 위한 과감한 정책전환이 필요한 때가 바로 지금이다.

유장렬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초빙연구원·교수 jrliu2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