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신두 서울대 교수, 꿈의 디스플레이 시대 열 유기발광트랜지스터 개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시장 확대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소재와 공정 문제를 해결할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신두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네트워크 전극을 사용해 면 발광(quasi-surface emission)이 가능한 수직구조 유기발광트랜지스터(VOLET)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신두 서울대 교수, 꿈의 디스플레이 시대 열 유기발광트랜지스터 개발

OLET는 OLED 발광 특성과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스위칭 기능이 합쳐진 소자다. 트랜지스터가 직접 발광소재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구조와 공정이 매우 간단해진다. 이에 따라 OLET는 OLED의 대안으로 각광을 받았지만 선 발광만 가능해 상용화되지 못했다. 이 교수팀은 수직구조 트랜지스터로 면 발광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이신두 교수와 금창민 박사 과정 연구원이 주도했으며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정민근)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을 받았다.

OLED는 꿈의 디스플레이로 불렸다. 자체 발광 구조로 백라이트유닛(BLU)이 필요 없어 자유자재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고 자연 색을 재현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OLED가 모바일 시장에 제한적으로 채택됐던 것은 대면적 디스플레이의 생산 공정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발광층 소재가 빛을 내려면 양극(Anode)-정공주입층(HIL)-정공수송층(HTL)-발광층(RGB)-전자수송층(ETL)-전자주입층(EIL)-음극(Cathode) 구조가 필요하다. 이 중 실제로 빛을 내는 소재는 RGB뿐이다. 그러나 HIL·HTL·ETL·EIL 네 개 공통층의 조합이 어떻게 이뤄지는지에 따라 성능은 확연히 달라진다. 이 중 소재 하나만 바뀌어도 전체 구성비가 모두 달라질 정도여서 업계는 소재 간 조합을 끊임없이 바꾸며 성능을 검증하고 있다.

OLET는 이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시킨다. 하지만 지금까지 기술로는 전극이 발광 소재와 나란히 배열돼 선 발광밖에 구현할 수 없었다. 이 교수팀은 2차원의 전하 주입과 이동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모양 전극을 제안하고 소스와 드레인을 수직으로 배열했다. 이를 이용해 전극이 보이지 않는 면 발광 특성을 얻었다.

이 교수팀이 개발한 VOLET는 또 OLED에 비해 개구율과 발광 효율이 높고 구동 트랜지스터까지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VOLET 연구 결과는 해외가 먼저 주목했다. 이 논문은 세계적 학술지 ‘옵틱스 익스프레스’ 온라인판에 지난 10일 게재됐다.

이 교수는 “디스플레이 세계 1등인 우리나라가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OLED를 넘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점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플라스틱 인쇄전자 분야의 원천기술 확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