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부 스마트그리드 보급 사업이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원격검침인프라(AMI)에 초점이 맞춰진다. 다년간의 보급 사업 경험을 통해 상용 가능한 모델로 구체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은 올해 스마트그리드 보급 사업에 10MWh 규모의 ESS와 1만5000가구 대상으로 AMI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사업은 다른 산하기관의 국책 과제나 한국전력공사의 기존 사업과 중복을 피하면서 단순화시켰다는 평가다.
정부 예산 총 172억원이 투입되며 실제 설비가 구축되는 수용가의 자발적인 시장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투자금(사업비 30%)을 수용가가 추가로 지불하는 펀드방식으로 운영된다. 오늘 7·8월 분야별로 약 5개 컨소시엄을 선정해 사업에 착수할 방침이다.
ESS 보급 사업은 주파수조정(FR)용이나 신재생에너지 연계형 등의 모델은 배재하고 전기요금이 저렴한 심야 시간대 저장한 전력을 요금이 비싼 시간대 사용하는 용도로 구축된다. 국내 전력상황에 가장 적합한 모델에 집중하겠다는 이유에서다. 이를 위해 ESS 핵심장비인 전력변환장치(PCS)의 출력량을 1~2㎿로 제한하고 배터리 용량도 2㎿h로 규격화 시킬 방침이다.
AMI 역시 유·무선 등 다양한 통신방식을 적용해 경제성 검증에 초점을 뒀다. AMI는 공동주택이나 산업용 집합건물에, ESS는 산업용 건물과 공공시설물로 제한하는 한편 소비자 반응과 비용편익 분석, 데이터 관리가 가능한 수용가에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모든 시설은 관리자가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을 통해 데이터 분석하고 수용가 고객은 웹서비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해 전력사용량, 요금정보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할 방침이다.
이철희 스마트그리드사업단 팀장은 “지금까지 검증했던 다양한 사업모델 중 가장 현실적인 사업 모델을 발굴해 반영했다”며 “소비자 반응과 투자에 따른 비용 편익을 분석하면서 시장성 검증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