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 디지털 교육을 늦추면 ‘교육후진국’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내달 정부의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비롯한 스마트 교육 정책 발표를 앞두고 교육업계가 입을 모아 정부의 혁신적 변화를 요구했다.
한국교원대학교(총장 김주성)와 디지털교과서협회(회장 양태회)는 25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제 1회 디지털교육 공개 세미나’를 개최했다. 양 기관이 올해 초 업무협약을 맺은 뒤 주최하는 첫 공식 행사다. 과거 IT 대기업이 주도하던 디지털 교육 정책 관련 의견 개진을 교육기업과 교사가 앞장섰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양태회 디지털교과서협회장은 “그동안 정부의 디지털교과서 사업은 오락가락하면서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의견도 많았다”며 “디지털교육은 필연적인 시대의 흐름이며, 선진국은 정부가 앞장서서 이끌어간다”고 말했다. 양 회장은 디지털 교육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 교육현장에 필요한 기술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교수법을 개발하고 교육 콘텐츠 관련 저작권의 기준을 세우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주성 한국교원대학교 총장은 “작년 12월에 이스라엘을 가보고 우리나라와 선진 교육현장 간 차이가 너무 벌어진다는 것을 깨달았다”며 “우리나라가 IT는 발전했지만 디지털 교육이 늦은 이유는 우리 교육문화가 과거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김 총장은 지금의 집단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개인화된 교육으로 넘어가기 위해 교육 정책을 혁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디지털 시대의 교육은 이전 세대의 교육과 차이가 있는 만큼 새로운 교육 콘텐츠 개발과 현장 적용 연구가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또 교육 현장에서 스마트기기를 교육 콘텐츠로 적극 이용했을 때 학생들의 수업 참여 및 태도 변화에 주목했다. 정찬필 KBS PD는 최근 ‘플립드러닝(거꾸로 교실)’ 수업을 도입해 학생들이 달라진 경우를 예를 들었다. 스마트폰을 게임을 위한 기기로 생각하던 학생들이 65%에서 31%로 줄어들었다. 스마트폰으로 공부를 하는 학생들의 행태가 4%에서 43%로 크게 늘었다.
또 정책적으로도 정부가 기존에 무질서하게 진행해 온 디지털 교육 사업을 정리하고 안정적으로 진행할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장덕호 상명대학교 교육학 교수는 “디지털 교육 정책은 교육내용, 혁신, 방법, 평가 전반의 변화를 초래하는 중요 교육 개혁 과제”라며 “콘텐츠와 기술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교원들의 인식, 태도, 능력의 근본적 변화를 가져올 동기부여나 전략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
-
김명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