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지난해부터 중동부 지역에서 심각하게 발생한 스모그 등 환경악화를 억제하기 위해 ‘생태 문명 도시’ 건설을 표방하며 환경개선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중국 환경시장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촉발됐다.
2002년 추진한 환경시장 민영화는 관련 투자가 대폭 증가하는 계기가 됐다. GDP에서 환경투자가 차지하는 규모는 지난 30년간 0.7%에서 2.4%로 늘었고 투자액도 연평균 29.7%로 성장했다. 스모그 등 환경개선 수요 증대로 제12차 5개년 계획(2011년~2015년)을 수정해 투자액을 기존 3조4000억위안에서 5조위안으로 늘린 사례는 환경개선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의지를 잘 보여준다.
석탄화력 발전소 증가로 문제가 되고 있는 대기질 분야에는 2017년까지 1조7000억위안을 투입해 청정에너지 대체, 자동차 오염 저감, 중앙난방 등의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시 오수처리와 물 재이용 시설 건설에는 2015년까지 4298억위안을 투입해 100개 이상의 오폐수처리장을 건설하고 같은 기간 2636억위안으로 폐기물 처리 및 자원순환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광산개발에 따른 산업폐기물 투기로 오염된 동부 대도시와 남부 농경지는 중금속 오염 종합방지 계획을 통해 토양복원에 나선다.
중국 환경시장은 계속 커지지만 국내 환경기업의 대중국 수출 성장세는 더디다. 2012년도 기준 중국 대상 환경부문 수출액은 5748억원으로 전체 환경산업 해외 수출액의 7.8%에 불과하다. 증가추세에 있기는 하지만 환경산업 전체 해외수출 증가율 33.7%에는 못 미친다. 2008년 2.7년으로 분석됐던 과학기술 격차도 2012년에는 1.9년으로 좁혀졌다. 환경기술 역시 지난 4년간 7.8% 큰 폭의 성장을 일궜다. 시장은 크지만 진출하기가 만만치 않다는 산업계의 평가엔 이 같은 배경이 있다.
우리 정부는 중국이 필요로 하는 유망기술과 공략 대상지역을 선정해 시장 진출 전략을 수립·추진하고 국내 기업의 안정적인 중국진출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