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협의회 역할이 변해야 합니다. 과거 친목 모임 위주에서 창업, 기술사업화 등 새로운 산학협력 현안을 정부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해 사업이나 제도, 법률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5월 말 신임 회장으로 선출된 김태일 전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연구처장협의회장(이하 협의회장)은 “최우선으로 국가연구개발 및 산학협력 관련 제도와 규제 등 현안을 정부 부처와 연계해 해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국내 산학연관의 현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전문가다. 다양한 이력이 뒷받침한다. 과거 삼성종합기술원 연구소장 및 삼성전자 정보통신총괄 광사업팀장을 지낸 그는 한국광기술원장, 파이컴 연구소장, 중기청 기술혁신국장, 연구개발특구본부 전략기획단장을 거쳐 현재 한밭대에서 산학협력단장을 맡고 있다.
김 회장은 “지난 춘계 세미나 지역별 분임토의에서 많은 산학협력단장들이 애로사항과 건의사항을 쏟아내면서 협의회가 해결해주기를 바랐다”며 “연구개발 및 새로운 산학협력 기능에 필요한 제도 개선 등 현안을 하나씩 풀어나겠다”고 강조했다.
전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연구처장 협의회는 현재 207개 대학(정회원 133개교, 준회원 74개교)이 참여하고 있다.
지난 춘계 세미나에서는 연구비 관리 간소화 및 표준화, 연구비 관리 규제 완화, 간접비 제도, 기술이전 및 기술료 제도, 연구개발 장비 관리제도 등 대학 산학협력단에서 겪고 있는 각종 현안이 이슈화됐다.
김 회장은 “최근 국내 대학이 입학자원 감소로 구조조정 소용돌이에 내몰리고 전에 겪어보지 못했던 무한경쟁에 직면하게 됐다”며 “이 때문에 대학 재정은 어려워졌고 산학협력단이 대학 재정의 일부를 책임져야 하는 막중한 위치에 서게 됐다”고 진단했다.
협의회 역할 변화론 제기도 이 같은 연유에서다.
김 회장은 “산학협력단의 세입 예산 중에서 연구간접비를 제외하면 기술이전 수입과 창업보육센터 임대 수입 등이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기술사업화를 포함한 산학협력사업을 수행하기에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장기적으로 산학협력단이 대학 재정을 책임지는 기술사업화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력 및 재정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앞으로 정부부처와 협의 채널을 활성화해 산학협력단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포럼 및 지역별 모임을 활성화해 회원학교 간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