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까지 산업 초기 단계지만 ‘크라우드펀딩’에 대한 기대는 높다.
창업초기·벤처기업들이 아이디어와 신기술만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중요한 창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박근혜정부가 크라우드펀딩을 창업·벤처 활성화의 중요 정책과제 가운데 하나로 꼽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크라우드펀딩은 기존 제도권의 벤처캐피털이나 대기업의 인수합병(M&A) 등에서 소외된 초기 기업들에게 자금을 조달할 기회를 제공한다. 기업 규모가 작고 그동안 경영성과가 없는 아이디어형 창업자들에게 크라우드펀딩은 새로운 사업을 시작할 돌파구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소규모 개인투자(엔젤투자)’ 비중이 미국 등 벤처투자 문화가 활성화된 국가에 비해 턱없이 낮다. 미국에서는 초기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데 벤처캐피털과 엔젤투자 비중이 엇비슷하지만 우리나라는 벤처캐피털에 대한 의존도가 98%에 달한다.
상대적으로 큰 돈을 투자하는 벤처캐피털은 엔젤투자자에 비해 심사와 투자 결정이 까다로울 수밖에 없다. 크라우드펀딩은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작은 금액을 모은다는 점에서 창업자나 초기 기업에게 진입장벽이 낮다.
지금까지 크라우드펀딩이 활기를 띤 분야로는 콘텐츠가 꼽힌다. 영화 등에서 일반투자자를 모집해 자금을 모으고 향후 수익을 배분하는 방식 등이 활용돼 왔다.
이정민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 팀장은 “영화 등에서 도입된 투자를 일반 기업체로 확대시켜 벤처 생태계가 보다 원할히 가동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관련 제도의 정비는 물론이고 진흥에 무게를 둔 육성책이 함께 필요하다”고 말했다.
크라우드펀딩은 또 별도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도 부각될 수 있다. 기존 금융기관은 물론이고 인터넷 포털이나 제3의 신규 중개사업자까지 새로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관련 사업 규모는 아직 미미하지만 크라우드펀딩 규모와 건수가 획기적으로 늘어나면 전문 중개사업은 새로운 산업으로 부상할 수 있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