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u)헬스케어 시장이 지난 2011년 315억달러(약 32조985억원) 규모에서 올해 402억달러(약 40조9638억원)로 급성장했다. 병원과 의료기기업체, 전자업체들까지도 u헬스케어 시장에 적극 뛰어 들었다. 정부도 매년 막대한 규모의 예산을 지원, u헬스케어 사업을 지원한다. u헬스케어 시장은 급성장하지만 여전히 국민에게 체감되는 u헬스케어 서비스는 없다. u헬스케어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시장 성장 측면이 아닌 실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상용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대형 종합병원은 정부 지원을 받아 다양한 u헬스케어 사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대부분 시범사업에만 머무르고 더 이상 상용화를 추진하지 못했다. 상용화를 이루는 데 가장 큰 걸림돌로 u헬스케어 연구의 출발 배경이다. u헬스케어의 범부처 정부 노력도 절실하다.
◇병원 수익과 ICT 관점에서 연구 시작
국내 u헬스케어 서비스 연구는 지난 2005년부터 시작됐다. 병원은 한계에 이르는 수익 확보방안 차원으로 시작했다. 보험수가가 낮은 상태에서 새로운 병원 수익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가 필요했다. 이 시기에 대부분 국가가 그렇듯 우리나라도 고령화 시대를 맞아 만성질환 등에 대한 u헬스케어 서비스들이 연구되기 시작했다.
또 다른 배경은 스마트 디바이스 보급 확대에 따라 u헬스케어 연구가 시작됐다는 것이다. 정보통신기술(ICT)이 발달하면서 의료와의 융합이 본격적으로 연구됐다. 의료·IT 융합 연구가 의료가 아닌 IT관점에서 융합 논의가 시작됐다는 것이다. 국내 한 병원 u헬스케어센터장은 “u헬스케어 논의가 의료가 아닌 수익이나 ICT 관점에서 시작되다 보니 의료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대표적인 u헬스케어 서비스는 당뇨 서비스다. 2000년대 후반 스마트 디바이스가 급증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당뇨 자가진단 서비스 개발이 앞다퉈 진행됐다. 정부도 당뇨 관련 u헬스케어 서비스를 지원했다. 첨단 스마트 디바이스와 센서 등을 이용해 스스로 당뇨 검사를 하는 등 자가진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다.
이러한 서비스는 실제 고령자나 만성질환자에서 적절하게 활용되지 못했다. u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받는 대상에 대한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고령자에 대한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도 현실이다.
u헬스케어 전문가는 “u헬스케어 연구가 기존 병원이나 의료기기, 전자업체 등 공급자 입장이 아닌 사용자 입장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현재의 연구로는 실 사용자들이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개발하기 힘들다”고 충고했다.
◇범정부적 u헬스케어 정책 필요
u헬스케어 연구가 단편적인 정부정책으로 추진돼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의료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지난 10년간 u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에 1조원 이상의 예산을 쏟아 부었지만 여전히 상용화되는 서비스는 극히 드물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u헬스케어 연구가 범정부차원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시각이다. u헬스케어 영역이 의료와 ICT를 넘어 바이오·환경 등으로 확대되면서 관련 부처도 더욱 다양해져야 한다. 보건복지부, 미래창조과학부, 안전행정부, 국토교통부, 소방방재청, 환경부, 교육부 등 부처의 다각도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려운 소외계층과 고령자 대상의 현실적인 u헬스케어 서비스 창출이 시급하다. u헬스케어 서비스 간 표준화 연구도 진행돼야 한다. 현재 병원이나 의료기기업체 중심으로 산발 추진되는 u헬스케어 서비스로 표준화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향후 범 국가적 u헬스케어 서비스 구현을 위해 초기부터 서비스 표준안을 마련해야 한다.
u헬스케어 서비스와 의료정보 표준화, 응급의료시스템 등도 연계돼야 한다. 단편적인 u헬스케어 서비스가 아닌 국가적 u헬스케어 서비스 구현을 위해 범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정부 관계자는 “범 국가적 u헬스케어 서비스 정책 마련을 위해 관련 부처들과 다각도로 논의 중”이라며 “곧 통합된 범정부 정책이 마련될 것”이라고 전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