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업계 합심해 GCF ‘과실 수확’ 선제 대응 나섰다

정부가 녹색기후기금(GCF) ‘과실 수확’을 위한 선제 대응에 나섰다. GCF 유치국으로서 선진국과 개도국을 잇는 가교 역할을 넘어 실질 수혜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준비에 돌입했다.

17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환경부·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부·산림청·기상청을 비롯해 삼정KPMG 등 업체와 GCF 관련 회의를 열었다.

내년 본격 기금 운용을 시작하는 GCF에 제안할 사업을 선별·발굴하기 위한 회의다. 각 부처와 업체는 추진·계획 중인 해외 녹색사업을 소개하고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기재부는 이 중 일부를 선정해 이르면 연말까지 사업 모델화하고 정비작업을 거쳐 내년 GCF에 정식 제안할 계획이다.

사업이 우수 평가를 받으면 GCF 기금을 지원받게 된다. 국제기구 기금 지원을 받기 위해 관련 부처와 업계가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GCF는 초기 재원 조성 규모·원칙·절차 등을 정해 내년 기금을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3월말 기준 세계 각국은 GCF에 총 5489만3000달러(약 566억원) 납부를 약속했으며, 이 중 우리나라는 1415만8000달러(약 146억원)를 공여하기로 했다.

기재부는 각 부처가 다양한 해외 녹색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국제무대에 내세울 만한 사례는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이번 기회에 대표 녹색사업을 만들어 GCF뿐 아니라 여러 국제기구·개발은행에 우리 활약을 알려 사업 기회를 확대한다는 목표다.

이번 사업으로 GCF 유치국으로서 ‘기여’와 ‘혜택’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우리나라가 다양한 국제기구에 기여하는 비중에 비해 수혜는 적었다는 게 전문가 평가다. 업계는 사무국이 송도에 위치한 만큼 접촉이 수월해 우리 기업의 사업 참여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평가했다.

기재부는 이달 말 한 차례 더 회의를 개최해 사업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사업 모델은 아직 구상 단계지만 여러 사업을 융합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GCF를 유치한 만큼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선제적·적극적으로 움직인다는 목표”라며 “이미 기후변화 대응 강국은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 한 전문가는 “국제기구 등에 우리나라가 적지않은 자금 기여를 했지만 활용도는 낮았던 게 사실”이라며 “정부와 업계가 합심해 미리 준비함으로써 GCF 자금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GCF 재원 조성 현황 / 출처:GCF, 단위:천달러>


GCF 재원 조성 현황 / 출처:GCF, 단위:천달러


유선일·조정형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