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 분야 협단체 연이어 출범, `한목소리 낼 수 있어야`

‘3D프린팅 붐 조성에 득이냐 실이냐.’

산업통상자원부·미래창조과학부를 필두로 범정부가 3D프린팅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유관 협단체가 연이어 출범해 시장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쏠린다. 하나의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움직임이 나타나야 한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지만, 업계 하나의 목소리를 내기 힘들어 저해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들린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2010년 출범한 3D융합산업협회(회장 김창용)가 지난해부터 3D프린팅산업 단체 역할에 적극 나서는 가운데 지난해 말부터 3D프린팅산업협회(회장 국연호), 3D프린팅연구조합(이사장 신홍현), 한국3D프린팅협회(회장 변재완)가 연이어 출범했다. 여기에 3D프린터를 개발하는 중소업계를 중심으로 ‘3D프린터제조협회(가칭)’ 결성 움직임도 나타난다.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시장 확산 초기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란 의견이 있다. 특히 3D프린팅은 3D프린터기기(장비)부터 소재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공정 등 다양한 분야가 융합한 결정체인 만큼 다양한 협단체 탄생을 부정적으로 볼 수는 없다는 주장이다. 정기철 대덕대 컴퓨터전자과 교수는 “정부 과제에 대한 기대감으로 탄생한 측면이 있지만 산업이 확산되는 하나의 과정으로 봐야 한다”며 “3D프린팅 분야에서는 아직 선진국과 격차가 있는 만큼 이 분야에서 빠르게 두각을 나타나기 위해 다양한 의견이 나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업계의 하나된 목소리에 대한 우려는 들린다. 모 교수는 “정부 프로젝트만 보고 생기는 곳도 있다”며 “협단체가 남발한다면 시장이 혼탁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부는 산업계에서 자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인 만큼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박윤규 미래부 정보통신산업과장은 “협회가 늘어나면 3D프린팅 붐을 조성하는데는 기여할 수 있다. 다만 동일한 성격의 단체가 나타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다”며 “업계가 자발적으로 협회를 만드는 만큼 정부는 중복성 등을 따져 합치는 것을 제안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이들 협단체가 산업과 정부의 정책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한의 목소리를 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모 3D프린터업체 대표는 “벌써부터 업계간 분열되는 모습이 나타나 안타깝다. 서로 정보를 공유하며 발전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학계 한 관계자는 “3D프린터 주무부처가 미래부와 산업부로 나눠진 것도 협회가 늘어나는 요인”이라며 “정부도 협회들이 분열되지 않도록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현재 산업부와 미래부는 장비·소재·소프트웨어·응용서비스 정책을 공동 개발해 펼치고 있다. 양 부처 주도로 지난 4월 ‘3D 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했으며 지난달에는 ‘3D프린팅산업 발전협의회’가 출범했다. 협의회는 오는 10월 기술발전로드맵을 공개할 예정이다.

<3D프린팅산업 유관 협단체 현황 ※자료:각 협단체>


3D프린팅산업 유관 협단체 현황 ※자료:각 협단체


김준배기자 j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