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수첩, 라식 라섹 부작용 폭로… 수술 중 기계 망가져 '충격'

라식 라섹 부작용
라식 라섹 부작용

라식 라섹 부작용

PD수첩이 라식과 라섹 수술이 부작용에 대해 폭로했다.



지난 5일 MBC ‘PD수첩’에서는 라식 수술 이후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해 고통 받는 사람들을 만나 라식, 라섹 수술의 부작용과 이를 간과하고 마구잡이로 환자들에 수술을 권하는 병원의 만행을 밝혔다.

이날 방송에는 라식 수술 후 얇아진 각막이 돌출되어 부정 난시가 발생하는, 이른 바 ‘원추각막증’ 판정을 받은 정지연(가명) 씨가 등장했다. 정지연씨는 일어나자마자 특수 렌즈를 껴야만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정지연씨는 병원과의 소송에서 승소했지만, 11년 째 언제 실명할지 모른다는 것으로 불안에 떨고 있다.

이날 방송에서 정지연씨는 “자살하는 사람들이 이해가 가더라. 나도 이 일을 겪으니 죽음 아니면 내가 뭘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눈물을 보엿다. .

제작진은 한 병원의 코디네이터로 근무했던 최 씨의 제보를 받았다. 최싸는“상담을 통해서 수술이 결정 되는데, 전문 지식이 아예 없는 사람들이 한 달 정도 교육을 받고, 그 매뉴얼에 따라 수술 종류를 결정했다. 그러니까 결국 결론은 ‘라식, 라섹 수술을 하세요’라는 것 뿐이었다”라고 말해 보는 이들로 하여금 충격을 금치 못하게 했다.

라식과 라섹 수술은 각막을 절개하는 수술이지만 많은 병원들이 간단한 수술처럼 마케팅을 해 10분 만에 끝나고, 부작용도 빛 번짐과 건조증 정도 밖에 없는 수술로 인식됐다.

이어 2013년 라식 수술을 하고 심한 빛 번짐 때문에 일상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부작용을 겪고 있는 박승찬(가명) 씨의 수술 사례는 허술한 병원의 눈 검사가 부작용을 초래한다는 의심을 자아냈다.

게다가 박 씨는 “눈 검사를 한 의사, 수술을 한 의사, 부작용 때문에 재수술을 해줬던 의사가 전부 다르다”며 “심지어, 재수술을 하던 도중 각막을 절개하고 나서 기계가 고장 났다고 임시 렌즈를 삽입한 채 방치했다”고 말했다.

이에 한 안과 의사는 “한 번에 무리하게 너무 많은 수술을 하는 시스템이 근본적인 문제다”라고 말했다. 그는 “병원에서 기계 유치 등에 돈을 많이 투자할 수 밖에 없다”며 병원의 마구잡이식 수술 권유를 비판했다.

또한 환자들의 수술 이후에 대한 아무런 사후 관리가 없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일본 소비자청은 라식 수술 후 부작용을 겪은 환자들의 사례를 모아 통계를 냈고, 10여 가지 이상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일본 소비자청에서 조사한 라식 수술부작용 통계 보고서에는 ‘라식수술을 쉽게 받는 것을 피하고, 설명을 충분히 받읍시다’라고 안내문이 적혀있었고, 일본의 의사들도 “통계 자료를 통해 라식 수술 이후 5년 이상이 지나도 안구 건조증과 같은 부작용이 낫지 않는다”는 것을 미리 경고했다. 하지만 한국소비자원은 “라식, 라섹 수술의 카테고리가 분류되어 있지 않고 조사를 아직 실시하지 않아 자료가 없다”는 말만 되풀이해 일본 소비자청과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몇몇 환자들은 이런 세태를 알리려 인터넷에 글을 써봤지만 이 또한 쉽지 않았다. 제작진은 홍보 대행업체로부터 일부 병원전문 홍보대행 업체들이 홈페이지 게시판은 물론, 각종 포털 사이트나 SNS 후기를 조작하고, 병원에 대해 부정적인 글들이 올라오면 즉각적으로 관리해주는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심지어 병원은 이런 환자들에 ‘부정적 글을 쓰는 행위를 중단하라’는 내용 증명까지 보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환자들은 병원 측에서 명예 훼손으로 신고 당해 경찰서에 소환당하기까지 했다. 전문 변호사들로 무장한 병원 측의 신고에 환자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취재 도중, 한국계 독일인 안과 의사이자 라식 수술의 위험성을 경고해온 스벤 리부터 “대한안과의사회로부터 MBC ‘PD수첩’과 인터뷰를 하지 말라며, 인터뷰를 할 경우 법적 책임을 묻겠다는 공문을 받았다”는 충격적인 소식을 알게 됐다. 또한 미국 FDA는 라식 수술에 관한 체크리스트를 제정했고, 일본과 독일 또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해 환자를 보호하고 있었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가이드라인 제정 예정마저 없어 환자들의 불안을 키웠다.

이에 제작진은 정부와 의료계의 관심과 법적 안전 가이드라인 제정을 촉구했다.

온라인뉴스팀 onli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