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의 품질향상이 새로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공공데이터의 활용이 늘고 있지만 국민·기업 등이 활용하기에는 가치 있는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데이터 품질이 미흡한 사례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DB진흥원에 따르면 데이터의 품질 측정(0~5레벨) 기준에 따른 국내 공공데이터의 품질은 1.1레벨 수준이다. 국내 민간 금융기관 데이터 1.2레벨보다 낮은 수치다.
진흥원 관계자는 “데이터의 단순 오류만 보는 것이 아니라 수집·관리 현황 등 전반적인 데이터 운용·관리현황을 측정해보는 것”이라며 “1.1레벨 수준은 품질향상을 위해 전담조직이나 인력을 투입해야 할 수준”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품질 오류의 경우 민간데이터가 1% 이내인 반면에 공공데이터는 3~4%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공공데이터의 정확성, 안정성, 최신성 등 데이터 품질이 미흡해 민간이 바로 활용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미지 형태로 제공돼 데이터 가공이 불가능하거나 재가공이 필요한 포맷이 대표적 사례다. 이 같은 데이터를 활용할 경우 민간의 재입력, 변환비용·시간이 추가 소요된다.
안전행정부는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의 품질을 개선하고 민간 개방을 확대하기 위해 ‘공공정보 품질센터’를 설치, 운영 중이다. ‘공공정보 품질센터’는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분야의 전문 인력 10여명으로 구성된다. 센터는 컨설팅과 전문기술 지원, 표준개발, 품질수준 진단 그리고 개선작업을 지원한다. 기관특성을 반영한 품질관리 계획서를 함께 제공, 기관이 자체적으로 품질관리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센터는 상담창구를 마련해 각 기관의 문제를 직접 듣고 필요할 경우 현장을 방문해 고객의 요구사항과 문제를 파악한다. 더불어 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상담과 품질관리에 필요한 교육 자료, 자가진단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품질센터는 현재까지 국립수목원, 해양경찰청, 국방부 등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총 49건 이상의 컨설팅을 진행하기도 했다.
품질센터 측은 “그 동안의 활동으로 데이터 품질관리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됐다”며 “실질적인 품질개선을 위해 개발된 DQM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데이터 성숙도 모델 개발, 품질진단·개선을 위한 소요대가 기준 마련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