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전력관리시스템, 내달 6일부터 가동

내달 6일부터 국내 발전소와 송전망을 총괄하는 전력관제 기능을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전력관리시스템(K-EMS)’이 가동된다. 지금까지는 외산에 의존해왔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내달 5일까지 나주 신사옥으로 이전을 끝내고 중앙전력관제 기능을 6일 15시부터 서울에서 나주로 변경한다. 기존 시스템이 가동된 지 12년 만의 일이다. 거래소는 발전설비와 송전선로가 증가하는 것에 반해 이를 총괄 운영하는 전력시스템은 노후했다고 판단해 교체했다.

새로운 시스템은 한전KDN과 LS산전, 한국전기연구원 등이 참여해 국산화했다. 기존 시스템은 프랑스 알스톰이 제작해 납품했다. 전력거래소는 앞서 지난달 29일 나주 중앙전력관제센터에서 전력관리시스템을 시운전하고 현재 병행 운전 중이다.

이에 따라 6일부터는 나주 중앙전력관제센터를 중심으로 경기도 의왕시 경인 전력관제센터, 천안 중부 후비급전소가 백업을 맡는다. 서울 전력관제센터는 일주일 정도 병행 운전하다 폐지 수순을 밟을 예정이다. 경인센터는 평상시에는 서울과 수도권 지역 154㎸ 송전선로를 관리한다. 비수도권 지역 154㎸ 송전선로는 기존 백업 설비인 중부 전력관제센터가 맡는다. 나주는 154㎸를 제외한 345㎸와 765㎸ 송전선로만 담당한다.

발전과 송변전 설비 대형화, 대규모 신재생에너지원 등 전력 계통이 급변하는 데 따른 조치다. 실제로 2008년에서 2013년까지 5년간 154㎸ 송전선로만 매년 45회선 증가하면서 관리대상 선로가 크게 증가했다. 154㎸ 송전선로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총 1676회선으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분리해 운영해야 한다고 전력거래소는 설명했다.

전력거래소는 중앙전력관제센터에 이상이 생길 경우를 대비해 관제센터 간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과 지휘 체계도 구축했다. 자연 재해나 기타 불의의 사고로 중앙 관제 기능을 상실하면 즉시 모든 권한을 백업센터에 넘겨주고 중앙에서 지시하는 형태다. 중앙관제 기능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

거래소는 자동입찰시스템도 새롭게 도입했다. 발전기별 입찰량이 실제 출력가능 용량과 달라 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다. 기존 시스템은 발전회사마다 별도 프로그램으로 전력계통에 공급 가능한 용량을 산정했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주요 선진국에서는 중앙 전력관제센터의 경우 대다수 부하 중심지인 수도권에 있다”며 “나주 이전으로 수도권에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중앙전력관제센터 인력이 백업 급전소로 이동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관제센터 간 연계를 최우선으로 고려했다”고 말했다.

유창선기자 yud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