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과 정부간 매칭 펀드로 추진 중인 인도네시아 마이크로그리드 수출 사업 밑그림이 완성됐다. 한국전기산업진흥회(회장 장세창)는 최근 인도네시아 전력청(PLN)과 저압 마이크로그리드시스템 수출 모델에 대해 상당부분 합의를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수출 사업은 디젤발전기와 전력변환장치(PCS), 에너지저장장치(ESS),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으로 구성된 저압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중소기업형 비즈니스 수출모델로 개발하기 위해 추진됐다.
인도네시아는 1만개가 넘는 섬으로 이루어진 지리적 한계로 인해 그동안 전력망 연계가 아닌 디젤발전기에 전력수급을 의존해 왔다. 지역별로 평균 월 1회 정전이 발생하는 등 마이크로그리드 최적지로 손꼽혀 왔다.
우선 해당 사업에 정부예산을 투입하지 않고 PLN이 주관하는 일종의 민간사업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경험상 정부사업으로 진행하면 인도네시아 예산처(Bappanas)의 승인, 주무부서 집행절차 등으로 인해 거의 2~3년의 기간이 필요하다는 PLN 측 요구를 받아들였다. 후보지는 PLN에서 추천하는 지역 중에서 선정하는 것으로 검토되고 있다. 진흥회는 PLN 등 인도네시아 기관과 함께 마이크로그리드 추진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시범사업 대상지 선정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5년까지 태양광발전 10GW, 풍력발전 1GW 구축 계획을 세우고 신재생에너지 설비 구축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숨바섬 사례를 보면 중국산 배터리 사용으로 하루 1회 충방전 만으로도 수명이 5년에 불과하고 제대로 출력이 나오지 않는 등 문제점을 겪고 있다. 진흥회는 이번 사업을 신재생에너지 품질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진흥회는 이외에도 별도 전원이 필요한 통신기지국 시장에도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인도네시아 6개 통신사에서 운영 중인 기지국만 10만개가 넘는다. 대부분 디젤발전기를 전원으로 쓰고 있으며 월 2000리터의 디젤을 소모한다. 이 중 300개는 마이크로그리드 형태로 전원을 공급하고 있지만 도난방지를 위해 ESS를 콘크리트로 둘러 싸 수명이 짧다.
진흥회는 2010년부터 추진한 마라도 실증사업을 기반으로 도서지역에 적합한 마이크로 시스템을 패키지화하는 한편 고품질·고효율의 국산 제품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진흥회 관계자는 “저품질 중국산 제품으로 제역할을 못하는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국산으로 대체하는 것과 동시에 신재생에너지와 디젤발전기, ESS, EMS를 통합한 새로운 모델로 시장을 확대할 것”이라며 “최근 한전이 캐나다에 수출한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과 연계할 경우 시너지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유창선기자 yud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