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어진 전기회로를 레이저 포인터로 수리해 붙일 수 있는 기술이 처음으로 개발됐다.
KAIST(총장 강성모)는 박정기·김희탁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이승우 성균관대 성균나노과학기술원(SAINT)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끊어진 전기회로에 레이저를 쪼여 끊어진 부분을 원래 상태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기술의 핵심은 기존과는 다른 회로 설계에 있다. 연구팀은 빛의 편광 방향과 나란하게 움직이는 아조고분자(강력하게 발색하는 원자단으로 이루어진 고분자)를 휘어지는 성질이 있는 연성필름에 코팅했다. 그런 다음 그 위에 은나노와이어를 도포하는 방법으로 휘어지는 전기회로를 완성했다.
연구팀은 인위적으로 회로를 단락시킨 뒤 단위면적당 발광에너지를 500㎽/㎠ 세기의 레이저 포인터를 쪼이자 아조고분자가 편광방향과 나란히 움직이며 끊어진 회로가 처음 상태로 회복됐다고 설명했다.
박정기 KAIST 교수는 “플렉시블 전자기기의 전기회로 단락문제를 해결해 전자기기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영화 속 아이언맨도 탐낼만한 차세대 신기술”이라고 말했다.
이승우 성균관대학교 교수는 “기존 자기회복 전기회로 기술의 단점이었던 고온을 사용하거나 해로운 용매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회복과정이 필요없다”고 덧붙였다.
이 기술개발은 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자사업의 지원을 받아 강홍석 KAIST 박사과정생이 주도했다. 연구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스’ 최근호에 실렸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