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자동차는 센서와 차량 간 통신 기술이 핵심인 만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와 협업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도로 인프라와 법·규제 정비를 위한 정부 역할도 요구된다. 산업 간, 부처 간 협력이 자율주행 시대 전제 조건이지만 아직 준비가 미흡한 실정이다.
자율주행 기능은 크게 인지, 측위(위치 측정), 제어로 나뉜다. 정확한 제어의 전 단계인 인지와 측위부터 ICT와 협업이 요구된다. 자동차에 센서를 다는 것만으로는 위치와 주변 환경 파악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우선 기존 GPS로 받을 수 있는 지형 정보는 2차원 정보다. 대형 주차장 등 실내 공간과 도로의 경사도·높낮이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ICT 인프라 고도화가 필수적이다. 수 ㎞ 밖의 도로 상황을 인지하는 일도 센서와 레이더만으로는 부족하다. 이 때문에 차량·사물 간 통신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재관 자동차부품연구원 스마트자동차기술연구본부장은 “센서와 자동차로만 구현할 수 있는 자율주행은 한계가 분명하다”며 “자동차와 함께 ICT, 도로 인프라가 고도화되어야만 궁극적인 자율주행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도로 인프라 영역에서는 공공 부문 역할이 필요하다. 자율주행차는 차선과 표지판을 스스로 인식해야 하는데, 이 체계가 표준화되지 않으면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다. 자율주행을 허용하는 법·규제 정비도 마찬가지다. 미국은 네바다주 등 네 개 주에서 법제화를 완료했다.
우리나라도 자율주행차 시험 운행 허용, 무선주파수 대역 정비 등을 위한 규제 개선을 추진 중이지만 해외에 비해 속도가 늦다. 특히 지난 4월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중심으로 출범한 스마트자동차추진단은 6개월이 넘도록 뚜렷한 활동 성과가 없다. 예산과 권한 부족, 부처 간 엇박자가 원인으로 지적된다.
이 본부장은 “해외는 자율주행 비즈니스 모델을 기획할 때부터 세 분야가 머리를 맞대고 시작한다”며 “우리나라도 개별 영역에서 많은 일을 하고 있지만 결국 융합이 이뤄져야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