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금융보안원 초대원장은 전문가에게 맡겨야

금융보안원(가칭) 초대원장 공모 기간이 이달 15일까지로 연장됐다. 당초 공모는 지난달 25일 마감될 예정이었지만 적임자를 찾지 못해 마감이 한 차례 연기됐다.

금융보안원은 기존의 금융보안연구원, 금융결제원, 코스콤 등에 산재돼 있던 금융 정보공유분석센터(ISAC) 업무를 한 데 모으는 금융보안전담기구다. 국내 금융사의 총체적인 보안관리를 책임지는 핵심기구다. 올해 초 발생한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사고 등 초대형 금융보안사고가 잇따르자 정부가 마련한 특단의 방책(方策)이다.

내년 2월 공식 출범 예정인 금융보안원은 이미 205개의 금융사를 회원으로 확보했을 뿐 아니라 170여명의 직원, 343억원의 초기년도 운영예산도 이미 확보했을 만큼 역할이 강조되는 기구다. 중요한 기구다 보니 중차대한 역할을 맡게 될 초대원장에 관심이 쏠리는 건 당연지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마감하려던 원장공모에서 마땅한 적임자를 찾지 못했다. 원장직을 맡아 큰 뜻을 펼쳐보겠다는 인물은 여럿 있었지만 대부분 지원서를 내지 않았다. 자격요건에 명시된 ‘금융과 정보기술, 정보보호 관련분야에 관한 경험이 있는 고위공무원이나 이에 상당하는 공무원직에 있었던 사람’이라는 내용에 부담을 느낀 탓이다. ‘고위공무원’ ‘공무원직’ 등의 단어에서 ‘낙하산 인사’를 머릿속에 떠올렸기 때문이다.

과민반응으로 해석하고 싶다. 진정한 전문가를 초대원장으로 선발하려는 초대원장후보추천위원회의 속뜻을 오해했다고 믿고 싶다. 공모기간을 연장하자 이 같은 확대해석은 다소 해소되는 분위기다. 낙하산 인사가 내정됐다면 굳이 공모기간을 연장할 필요가 있겠느냐는 분석이 나온다. 다행스런 일이다.

우리는 올해 초 있어서는 안 될 초대형 고객정보 유출사고를 겪었다. 이 같은 불상사를 막고자 설립한 게 금융보안원이다. 그러니 초대원장은 당연히 금융보안관련 분야 최고전문가가 임명돼야 한다. 낙하산 인사의 가능성을 철저히 배제할 때야 제대로 된 전문가를 구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