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벤처기업은 기업상장(IPO)에는 긍정적이지만 인수합병(M&A)에는 부정적인 견해를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는 벤처기업 302개사와 벤처캐피털 5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이 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조사에서는 기업 규모확대와 투자금 선순환을 위해 기업상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62.9%를 차지해 비상장이 낫다(37.1%)는 의견을 크게 앞섰다. 반면 대기업이나 다른 기업이 M&A를 제의하면 검토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절반 이상(51.7%)이 M&A보다 자체성장을 택하겠다고 답했다.
벤처캐피털의 66%가 선호하는 투자금 회수방법으로 상장을 꼽았으며 M&A라고 답한 곳은 20%에 그쳤다.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 유럽 등 해외 주요국의 벤처캐피털은 상장보다 M&A로 투자금을 회수한다는 게 대한상의의 설명이다. 세계 주요국 벤처캐피털의 투자금 회수건수를 분석한 보고서를 보면 M&A가 차지하는 비중은 유럽 91.3%, 미국 85.5%, 이스라엘 83.3%다.
최성호 경기대 행정대학원 교수(대한상의 자문위원)는 “벤처기업과 벤처캐피털 모두 M&A에 대해 소극적인 것은 벤처생태계의 자금순환 통로가 협소함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기술·인력 탈취의 우려나 최후의 구조조정 수단이라는 인식을 불식하고 전문 컨설팅·거래소 조성 등 인프라 확충과 규제완화, 세제지원 등을 통해 M&A를 투자금 회수와 기업성장의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창업 후 이익을 내는 데 걸리는 기간은 1∼3년 미만(45.7%)이라고 답한 벤처기업이 가장 많았다. 이어 3∼5년 미만(27.2%), 1년 미만(16.2%), 5∼7년 미만(5.6%), 7∼10년 미만(5.3%) 순이었다. 창업 후 겪는 어려움으로는 자금조달(47.4%), 판로개척(23.8%), 기술개발 및 기술의 사업화(15.9%), 주력업종 성장정체(9.6%), 경영관리(2.0%) 등을 거론했다.
벤처기업이 선호하는 자금 조달처는 정부정책자금(77.5%)이었다. 엔젤투자·벤처캐피털(11.9%), 일반은행(10.3%), 회사채·주식 매각(0.3%) 선호도는 낮았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