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만 감소하는 LPG 수요…사용 제한 풀어야

지난해 액화석유가스(LPG) 차량 등록대수는 역대 가장 많은 5만5000여대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LPG 사용가구도 2001년 이후 최저인 532만가구로 줄어드는 등 민간 부문 수요가 빠른 속도로 감소하는 추세다. 친환경성으로 LPG차량을 지목한 선진국과 정반대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업계는 LPG자동차 사용 제한과 경유택시 도입 등 역차별 요인을 수요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규제 개선을 정부에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만 감소하는 LPG 수요…사용 제한 풀어야

◇민간 LPG 수요 해마다 급감

지난해 국내 LPG차량 등록대수는 전년 대비 5만5484대 감소한 235만5000대를 기록해 4년 연속 내리막길을 걸었다. 2013년 2만2872대가 줄어든 데 이어 역대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LPG 차량은 2000년대 초반 낮은 유지비를 장점으로 빠르게 늘어났다. 하지만 2010년 11월 245만대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에 접어들었다. 세계적으로 LPG차량 보급이 확대되는 상황과 반대 양상이다.

세계LPG협회에 따르면 2013년 말 기준 세계 LPG차량 대수는 모두 2491만대로 전년 대비 6% 증가했다. 유럽을 중심으로 친환경 자동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LPG차량이 대안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2013년 세계 LPG 공급량은 전년 대비 2.3% 증가했다.

반면에 국내 LPG수요는 차량 감소 및 사용 감소로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자동차용 LPG 수요는 2010년 4860만배럴에서 2013년 4360만배럴로 10.2%가량 감소했다. 지난해도 전년 대비 약 5%가량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LPG 사용 가정도 매년 감소해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LPG업계 “사용 제한 풀어야”

28일 홍준석 대한LPG협회장은 “최근 국내 경유 차량은 급증하는 반면에 LPG차량은 감소하고 있다”면서 “LPG 사용계층을 확대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세제 정책도 개선될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휘발·경유차량과 달리 LPG차량은 택시·장애인·국가유공자와 하이브리드·경차 등 일부 계층 및 차종만 사용하도록 법으로 제한돼 있다. 현재 LPG차량 사용을 제한하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유럽은 대기오염을 이유로 경유택시를 퇴출하고 LPG차량 도입에 필요한 지원에 나서는 상황”이라면서 “반대로 우리는 LPG차량 사용은 제한하고 경유택시 보조금 지급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는 유류세 개편을 통한 LPG 가격 경쟁력 회복도 건의하고 있다. 2013년 기준 국내 수송용 LPG 가격의 세금 비율은 29.7%로 OECD 회원국 가운데 일곱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국내 수송용 연료의 세금 비중은 OECD 국가와 비교할 때 휘발유 3.6%포인트(P), 경유는 4.8%P 낮은 편인 반면에 LPG는 3.4%P 높다.

최근 유가 하락으로 휘발유, 경유 가격이 내려가면서 LPG 가격 경쟁력은 더 떨어진 상태다. 정부는 휘발유·경유·LPG 가격을 비율을 100:85:50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세제 개편을 단행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재 휘발유 대비 LPG 가격은 59~57%선이다.

“세계적으로 정부, 소비자, 기업이 LPG의 정보를 갖고 자유 경쟁을 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LPG가 정책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실효성 있는 대안이기 때문입니다.”

2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에서 열린 ‘글로벌 오토가스 서alt 2015’에 참석한 킴벌 첸 세계LPG협회장은 “LPG는 친환경, 경제적 연료로 세계 각국이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에너지”라며 이같이 말했다.

첸 회장은 우리 정부 정책에 대해 “한국도 에너지 정책을 펼치는 데 있어 경제성과 환경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면서 “규제 때문에 LPG차량 선택에 어려움이 생기거나 다른 에너지원에 보조금을 지급한다면 소비자는 환경적 가치보다는 경제성 때문에 LPG를 선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에너지 선택권을 강조했다.

셰일가스 혁명에 대해서는 아시아 LPG산업이 호기를 맞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셰일가스 증산으로 LPG 가격이 안정되고 있으며 파나마운하의 개보수로 수송 환경도 나아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한국처럼 기술과 제조, 인프라를 갖춘 나라는 드물다”며 “정부나 업계도 수출 등에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