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그룹이 화장품 계열사들의 브랜드력 강화, 유통채널 혁신, 해외 사업 확대로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견고한 성장을 기록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화장품 계열사의 국내외 성장에 힘입어 매출 및 영업이익이 모두 견고한 성장을 달성했다. 특히 아모레퍼시픽은 시장 침체 속에서도 브랜드력 강화, 유통채널 혁신, 해외 사업 확대로 3조 8,740억 원의 매출(+25%)을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화장품 계열사] 매출 4조 4,678억원(+23.3%), 영업이익 6,638억원(+44.2%)
아모레퍼시픽, 매출 3조 8,740억원(+25.0%), 영업이익 5,638억원(+52.4%)
2014년 주요 계열사 성과
아모레퍼시픽은 계속되는 시장 침체 속에서도 브랜드력 강화, 유통채널 혁신, 해외 사업 확대에 힘입어 전년 대비 25%의 높은 매출 성장율을 달성했다.
디지털과 면세 등 신성장 경로와 차별화된 구매 경험을 제공하는 아리따움이 성장을 주도했으며 해외 사업의 손익 개선으로 영업이익 또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주요 부문의 매출 성장세를 살펴보면 ①국내 화장품 사업이 23.5% 성장한 2조 5,789억원, ②해외 화장품 사업은 52.8% 성장한 8,325억원, ③Mass 사업 및 설록 사업은 1.1% 감소한 4,626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국내 화장품 사업은 외국인 관광객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면세 채널이 매출 성장을 견인했으며, 홈쇼핑과 e-커머스 등 디지털에 기반한 신성장 경로 또한 수익성 개선을 동반한 매출 고성장으로 질적 성장에 기여했다.
또 설화수, 헤라, 프리메라 등 대표 브랜드의 견고한 성장을 바탕으로 백화점 채널 점유율도 확대됐다.
럭셔리 사업(설화수, 헤라 등 방문판매, 백화점, 면세 경로 등)에서는 설화수, 헤라, 프리메라 등 차별화된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국내 백화점 경로에서의 채널 리더십을 강화했으며 효율적인 매장 관리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통해 수익성 역시 개선되며 질적 성장을 이루어냈다.
면세 경로는 중국인 고객수가 큰 폭으로 증가(+203%)하며 성장을 견인했으며, 설화수, 헤라와 더불어 신규 브랜드 아이오페의 면세점 진출로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며 매출이 고성장했다.
방판채널은 채널 혁신을 통해 건전한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강화했다. 채널 가시성 확보를 위한 유통 재고 조정으로 전체 연간 매출은 소폭 감소했으나 제품 유형 다양화, 카운셀러 역량 강화를 통해 카운셀러 인당 판매 및 고객 판매는 전년 대비 증가했으며 회사 매출 역시 하반기 들어 성장세로 전환됐다.
프리미엄 사업(아이오페, 라네즈, 마몽드 등 아리따움, 할인점(마트) 등)은 아리따움 채널이 제품 카테고리 다변화 및 고객 체험 서비스 확산 등 차별화된 구매경험 제공을 통해 매장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견고한 성장을 달성했다. 특히 아이오페, 한율, 라네즈, 마몽드, 아리따움 전용 상품 등 주요 브랜드의 판매 호조로 점당 매출이 증가했다.
디지털 사업(홈쇼핑, 온라인 등)은 전용 브랜드 베리떼를 중심으로 홈쇼핑과 e-커머스 등 전 경로에서 견고한 성장을 했으며, 쿠션류와 더불어 제품 유형의 확대(기초, 메이크업, 미용기기, 네일 등)를 통해 다양한 고객의 니즈에 적극 대응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 2014년 실적
해외 화장품 사업은 중국과 아세안 등 주요 성장시장에서 사업을 확대하며 매출 고성장을 달성했다. 일본과 프랑스는 전반적인 내수침체에 따른 영향으로 매출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미국에서는 전 경로 판매 호조로 매출 고성장을 이끌어냈다.
중국 시장은 브랜드 인지도 강화 및 채널 다각화로 4,673억원 매출을 달성(RMB 기준 44% 성장)했다. 설화수와 이니스프리는 신규 매장 출점과 신규고객 유입 증가로 매출 고성장을 이끌었다.
라네즈는 히트상품 판매 확대와 백화점, 디지털 채널에서의 경쟁력 강화로 수익성을 개선하며 질적 성장을 달성했다. 마몽드는 유통 채널 재정비 및 매장 리뉴얼을 통해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 외 아시아 시장은 브랜드 및 유통 포트폴리오 강화를 통해 견고한 매출 성장을 이끌었으며, 흑자전환을 달성했다. 설화수, 라네즈 등 대표 브랜드가 브랜드력 강화 및 히트상품 판매 확대를 통해 매출 성장을 견인했으며, 이니스프리가 아시아 주요 국가(싱가폴, 말레이시아, 대만)로 진출하면서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 또 홍콩 조인트 벤처(JV) 인수로 홍콩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며 중화권 시장 공략을 본격적으로 가속화했다.
미국 시장은 전 경로 판매 호조로 매출 고성장을 이루어내고 영업이익이 흑자전환했다. 특히 아모레퍼시픽의 주력상품 판매 증가를 바탕으로 백화점, 세포라, 온라인 등 전 채널에서 매출이 견고하게 성장했으며, 라네즈는 미국 유통체인인 타겟에 입점하며 미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했다.
프랑스 시장은 유럽 내수침체에 따른 영향으로 매출이 다소 감소했으나 효율적인 비용 관리를 통해 적자 폭이 줄었다. 일본 시장은 브랜드 및 채널 포트폴리오 재정비로 인해 매출이 소폭 감소했다.
Mass 사업은 유통환경의 변화와 소비 침체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매출이 소폭 감소했으나 코스메틱 제품군이 고성장하며 프리미엄화를 견인했다. 오설록 사업은 브랜드 인지도 강화에 힘입어 견고한 성장을 지속했다.
Mass 사업(려, 미쟝센, 해피바스 등 / 할인점 등)의 헤어케어 부문에서는 려와 미쟝센의 양모, 염모 제품 등이 고성장하며 기능성 제품군의 비중이 확대됐으나 세정류 판매는 소폭 감소했다. 바디케어 부문에서는 해피바스와 일리의 프리미엄 보습 라인 판매 확대에 힘입어 바디 코스메틱 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 미백, 잇몸케어 등 기능성 신제품을 앞세운 오랄케어 부문도 성장 동력 확보 및 시장 내 경쟁력 강화에 성공했다.
오설록 사업은 티하우스, 백화점을 중심으로 프리미엄 사업이 견고한 성장을 이루어냈다.
에뛰드, 매출 3,065억원(-9%), 영업이익 56억원(-79%)
에뛰드는 해외 에이전트 거래 축소로 인한 수출 감소, 브랜드력 강화를 위한 마케팅 투자 확대 등의 영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감소하였다. 브랜드 스토리 재정립, 매장 디자인 혁신 등을 통해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이니스프리, 매출 4,567억원(+37%), 영업이익 765억원(+54%)
이니스프리는 제주 브랜드 스토리가 실현된 주요 히트 상품(화산송이, 그린티)의 판매 호조, 신제품(제주 한란, 틴트 립무스, 스마트 파운데이션 등) 출시로 전 경로에서 수익성 개선을 동반한 매출 성장을 이루었다. 또한, 해외 사업 강화로 수출 매출이 증가했으며, 외국 관광객 판매 증가로 면세 경로 비중이 확대되었다.
아모스프로페셔널, 매출 546억원(+12%), 영업이익 116억원(+1%)
아모스프로페셔널은 녹차실감, 컬링에센스 등 주요 제품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양모, 세정, 정발 부문이 견고한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면세 경로 고성장에 따라 유통수수료 증가로 영업이익은 소폭 증가했다.
[비화장품 계열사] 매출 2,442억원(-9.8%), 영업이익 -47억원(적자전환)
태평양제약, 매출 791억원(-37%), 영업이익 -36억원(-186%)
태평양제약은 제약 사업 양도에 따른 영향으로 전년대비 매출 및 이익이 감소했으나 메디컬 뷰티 부문은 아토베리어 등 주요 제품의 고성장과 클레비엘 등 신제품 런칭을 통해 견고한 두자릿수 성장(+15%)을 이어가며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메디컬 뷰티 역량 강화를 위한 마케팅 투자 확대로 이익이 감소했다.
퍼시픽글라스, 매출 641억원(+5%), 영업이익 적자 지속
퍼시픽글라스는 화장품 계열사들의 견고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매출 성장했으나 생산시설에 대한 개보수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며 영업이익은 적자를 유지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정부재 기자
cos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