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지식재산 전문기업인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ID)에 정부 예산 226억5000만원이 추가로 투입됐다. 지난 2010년 설립 이래 공격형과 방어형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했던 ID의 기업 정체성은 방어형 지식재산관리회사(NPE)로 강화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특허청은 지난해 하반기 산업통상자원부에서 특허청으로 넘어오면서 집행하지 못한 예산을 포함해 올해만 ID에 약 23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또 정부출연연구소와 중견·중소기업의 특허 방패를 형성하는 방어형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ID는 지난달 26일 취임한 김광준 신임 사장을 필두로 강도 높은 체질개선 작업을 하고 있다. 특허청과 협의한 기업 개선방안도 조만간 발표한다. 개선방향은 업계의 당초 예상과 달리 기존 방어형 특허소송을 보다 확대해 출연연과 중견·중소기업을 대변하는 공공 NPE의 정체성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특허청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특허침해소송 건수가 대폭 줄면서 공격형 NPE라는 수익모델 자체가 큰 의미 없는 상황”이라며 “ID는 출연연과 중견·중소기업을 위한 방어형 특허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ID는 향후 대만 IP뱅크, 프랑스 브레멘 같은 정부 펀딩 NPE와 유사한 형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IP뱅크, 브레멘 등의 NPE는 정부가 창의자본(Invention Capital)을 통한 공공 IP펀드를 육성하는데 집중한다. 창의자본은 특허나 아이디어를 매입한 후 부가가치를 높여 이를 필요로 하는 기업에 라이선스를 제공, 수익을 내는 자본을 말한다. ID가 그동안 특허 매입에 주로 치중했다면 앞으로는 보유 특허를 바탕으로 IP 활용, 컨설팅 사업에 집중하게 되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ID는 국내 최초 NPE로서 기대가 컸지만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지분에 참여하는 애매한 형태로 오랫동안 수익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며 “정부 예산을 쏟아 붓더라도 공공성이라는 기업 노선을 확실히 하고 수익성이 좋아질 수 있다면 차선책이 될 수는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ID그룹은 올해까지 계획된 5000억원의 창의자본 중 대부분을 조성했으며 이를 통해 국내 연구소와 대학, 기업, 개인발명가 등에 4300여건의 특허풀을 구축하고 국내 기업이 해외에 지불하는 기술료를 4774억원 절감했다. 또 출연연과 기업에서 600여건의 미활용 특허를 확보해 수익화 활동을 추진했다. IP 기반 기술사업화도 시작해 13개의 기술사업화 대상 패키지를 만들고 기술이전을 진행했다.
이외에도 국내 최초 IP전문 펀드운용사 아이디어브릿지는 2200억원의 펀드를 조성해 다양한 IP금융상품을 중견·중소기업에 지원하고 있다.
정미나기자 min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