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시험인증 정책 `글로벌화`와 `스마트시스템`에 집중

[이슈분석]시험인증 정책 `글로벌화`와 `스마트시스템`에 집중

우리 정부도 올해부터 우리나라 시험인증 산업의 고도화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올해 정책의 주 방향은 ‘글로벌화’와 ‘스마트시스템 구축’에 집중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시험인증사업을 단순한 제조업의 지원수단으로 보던 것에서 탈피, 별도의 지식 서비스산업으로 육성한다는 쪽으로 큰 방향을 잡았다. 지난해 마련한 ‘시험인증 경쟁력 강화방안’을 기반으로 시험인증 전문기관의 의견 수렴을 거쳐 다양한 종합 육성방안을 도출, 시행해 나가기로 했다.

이동욱 국표원 적합성정책국장은 “시험인증은 국내·해외 모두 연평균 7~8%의 꾸준한 성장을 계속하는 유망한 분야”라며 “자유무역협정(FTA) 확산을 계기로 적극적 해외시장 공략에 나서는 한편, 시험인증의 IT화를 통한 신뢰성 제고, 업무의 효율성 확대 작업을 추진한다”고 말했다.

내수에 국한됐던 국내 시험인증 산업의 글로벌화를 위해 정부는 올해 전략적 접근대상으로 5대 거점을 선정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그동안 우리 시험인증기관은 주요 지역에 연락사무소 형태만 가동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우선 중국 등 주요 거점에 시험소를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 타진하기로 했다. 현지 시험인증기관과의 협약을 통해 교차 시험인증도 보다 적극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중국과의 FTA 이후 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이 중국내 시험인증 기능을 대거 확대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특히 국내 제조업이 많이 진출한 지역에 우리 시험인증기관도 함께 진출하는 전략도 검토 중이다. 국내 기업들에게 수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우리 시험인증기관의 글로벌 경쟁력도 함께 높여 나간다는 접근이다.

‘스마트 시험인증’으로 불리는 시험인증 시스템의 고도화도 시행된다. 국표원은 이를 별도의 정부 과제로 만드는 작업에 착수했다. 고객사의 ‘고객사 의뢰-시험평가-인증-컨설팅-노하우 축적’에 이르는 업무 흐름을 IT화하면서 시험인증의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기로 했다.

우선 각 시험인증 기관별 특성에 맞는 시스템의 고도화와 전산화를 유도한다. 이후 여러 시험인증기관이 공통으로 사용할 시스템은 정부 주도로 공통 시스템을 마련하고 호환성까지 확보한다는 접근이다.

한 시험인증기관 관계자는 “이미 수년전부터 시험인증 고도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정부와 업계 모두 공감대가 형성돼 왔다”며 “시험인증 산업이 국부를 창출하고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세부 전략을 잘 마련하는 것은 물론, 경쟁 대상보다 빠른 실행으로 시장을 확보해 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