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증하는 사물인터넷(IoT) 단말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요람에서 무덤까지’ 이어지는 전 주기 관리체계가 확립된다. IoT기기에 일종의 주민번호를 부여해 생산에서 재활용·폐기까지 끊김없는 정보 식별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2일 정부에 따르면 국가기술표준원은 최근 2015년 표준정책 분야 학술연구용역사업 일환으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전 생애주기 관리를 위한 표준화 방안 연구’를 공고했다. 국표원은 수행기관 선정을 거쳐 4월부터 연구를 시작한다. 연구결과는 10월께 도출될 것으로 보인다.
국표원은 급증할 것으로 점쳐지는 IoT 단말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연구에 착수하기로 했다. 시장조사기업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IoT기기 규모는 2013년 26억개에서 2020년 260억개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IoT가 기존 정보기기뿐 아니라 의류·작업도구·생활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사물통신(M2M) 기능을 갖춘 단말기가 기하급수로 증가할 전망이다.
IoT 단말기가 늘어나면 관리 체계 중요성도 커진다. 일정 기간 사용한 단말기의 폐기·재활용 체계가 갖춰지지 않으면 최근 가전제품과 스마트폰 폐기 과정에서처럼 환경 문제가 대두될 공산이 크다.
국표원은 연구사업으로 IoT 단말기 식별체계와 생산·폐기 정보 표준화 방안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기기 최초 출하시 일종의 주민번호를 부여해 해당 기기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궁극적으로는 IoT 생산·폐기와 관련해 국제 수준의 표준안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고유 식별체계를 어떤 식으로 기기에 구현할지는 향후 연구와 업계 의견 수렴을 거쳐 결정한다.
IoT 단말기 소유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있는 만큼 관리정보 이용은 마지막 폐기·재활용 단계에 초점을 맞춘다. 사용자가 기기를 수거센터 등으로 보내면 이때 정보를 확인해 기기 재사용, 소재·부품 재활용, 완전 폐기 등을 결정하는 식이다.
국표원 관계자는 “환경보호 차원에서 IoT기기를 재활용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구체 구현 방안·일정과 표준화 여부 등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
-
이호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