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표원·KTR, ESS+UPS 융합모델 개발, 국제표준까지 선점한다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활용해 정전을 막는 한국형 에너지 신기술·사업 모델이 글로벌 표준으로 추진된다. 빠르게 성장하는 세계 ESS 시장에서 우리기업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은 지난주 제주 라마다프라자호텔에서 열린 ‘ESS 기술동향·표준화 국제포럼’에서 ‘ESS+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 융합 모델을 독자개발해 국제 전기기술위원회(IEC) TC 120 국제표준 획득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IEC 정기총회에 이 안건을 공식 상정한 데 이어 오는 5월 독일에서 표준제정위원이 참석하는 워킹그룹부터 정식 논의를 시작한다. 이어 국표원·KTR은 수차례 IEC 추가 전문가 회의를 거쳐 오는 2017년 국제표준에 최종 상정한다는 목표다.

‘ESS+UPS’ 융합모델은 국내외 일부 기업들이 아이디어 차원의 기술제안은 내놨지만 정부 차원에서 제품·기술 개발과 국제표준까지 꾀하고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ESS+UPS’는 정전 발생 시 비상전원을 공급해 갑작스러운 서버 중단이나 데이터 손실, 엘리베이터 미작동·긴급치료 중단 등 피해를 예방하고 잉여 전기를 저장했다가 전력피크 때 꺼내 쓸 수 있다. 국가 전력수요에 기여하면서 건물·산업시설에 안정적인 전원공급도 수행한다. 고가의 대용량 이차전지를 쓰면서도 투자비 회수 기간이 기존 10년 이상에서 절반가량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국표원과 KTR는 오는 2017년 국제표준규격 획득을 위해 LG CNS·국제통신공업 등 관련기업과 함께 연내 50㎾(배터리용량 100㎾h)급 제품 개발에 착수한다. 제품 개발 과정에서 시간 반응에 따른 성능 요구치와 환경·신뢰성·안전 등 기준을 마련해 국제표준규격을 주도한다는 방침이다.

최형기 KTR 원장은 “ESS가 피크 시프팅, 주파수조정(FR) 등에 활용이 늘고있는 가운데 ESS를 UPS와 결합한 첫 융합모델을 한국이 주도하게 될 것”이라며 “이 모델은 막대한 전력구입비를 줄일 수 있는 한국형 스마트그리드 융·복합 ICT 핵심이면서 우리 기업들이 안방에서 해외 시장을 준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제주=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