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연구원, 고전도성 스마트 섬유 개발

국내 연구진이 탄소나노튜브(CNT)와 금속나노소재(은나노와이어)를 결합해 전기가 잘 통하는 섬유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개발 주역은 한국전기연구원(KERI) 이건웅·한중탁 박사팀이다. 이 박사팀은 CNT와 은나노와이어를 재배열해 ‘고전도성 페이스트(섬유방사도프)’ 제조에 성공했다. 섬유방사도프는 ‘유연 고전도성 섬유’를 만들 수 있는 물질이며, 유연 고전도성 섬유는 의류 형태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조에 필수적인 소재다.

고전도성 스마트 섬유 제조기술을 개발한 KERI의 이건웅 박사(왼쪽)와 한중탁 박사
고전도성 스마트 섬유 제조기술을 개발한 KERI의 이건웅 박사(왼쪽)와 한중탁 박사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워치나 구글 글라스 등 액세서리형 기기에 주로 구현되고 있다. 향후 의류에 일체화된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만들려면 소형화가 가능하고 변형에도 자유로운 전도성 섬유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선보인 몇몇 금속 섬유는 전도도가 우수하지만 세탁 등 섬유 특성을 구현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신체 적합성에 여러 문제를 안고 있다.

이 박사팀은 고분자와 CNT, 은나노와이어를 분산제 없이 혼합해 페이스트를 만들고, 이어 ‘용액방사 공정’을 거쳐 전기가 잘 흐르는 고전도성 섬유를 제조했다. 이렇게 만든 고전도성 섬유는 섬유 특성은 그대로 유지한 채 CNT와 재배열된 은나노와이어에 의해 매우 우수한 전도도를 나타냈다.

또 국내에 생산기반이 잘 갖춰진 용액방사 공정을 그대로 이용해 대량제조도 쉽다.

한중탁 박사는 “이 고전도성 섬유는 각종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전원공급이 필요한 에너지 발생 및 저장 장치,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안테나 등의 웨어러블 소자로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온라인판 최근호에 실렸다.

KERI는 이 기술을 특허출원하고, 관련 업체와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창원=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