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20년까지 전역에 사물인터넷(IoT)을 적용하는 등 첨단 디지털 도시로 변화한다. 도시 공간과 디지털 공간을 연결하는 체험공간 ‘디지털 시티’도 구축한다. 서울시는 정보기술(IT) 정책 기조를 ‘정보화’에서 ‘디지털화’로 이동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서울디지털기본계획 2020’ 수립 작업에 착수했다고 29일 밝혔다. 디지털기본계획 2020은 지난 2005년과 2010년 수립한 서울정보화기본계획에 이어 2016~2020년 민선 6기 서울 디지털정책 비전과 정보화 계획을 담는다.
서울디지털기본계획 2020 핵심은 사물인터넷도시 조성이다. 서울시는 수요조사를 실시, 시 전역에 단계적으로 IoT를 적용한다. 적용 대상은 안전·복지·교통·관광·환경 등 전 분야다.
IoT 서비스 적용 시 센서 데이터 수용체계 설계와 센서를 수용하기 위한 플랫폼도 구축한다. IoT 적용 대비 단말기·네트워크·플랫폼 대상 정보보호 대책을 마련한다. IoT로 생성·유통·저장·분석·활용되는 데이터 전 주기 운영전략도 수립한다.
디지털 시티도 구축한다. 디지털 시티는 도시공간과 디지털 공간이 연결된 체험 공간으로 다양한 신기술을 적용한다. 웨어러블·증강현실·가상현실 등 첨단 신기술을 활용한다. 클라우드, 빅데이터 분석, 모바일 등 새로운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디지털 시정 과제도 추진한다.
김종근 서울시 정보기획담당관은 “9월까지 연구용역을 진행해 사물인터넷 도시 조성 계획과 디지털 시정 과제를 발굴한다”며 “2016~2020년 실행 가능한 선도사업을 선정, 실행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기본계획 2020에는 서울시 디지털 수준과 해외도시 수준을 비교해 제시한다. 미래 변화·수요를 예측해 서울 디지털 비전과 기본전략, 정책방향 등을 수립한다. 단계별 이행계획과 조직·인력·예산 등 실행방안, 연도별 로드맵도 만든다.
서울 디지털기본계획 2020은 초연결 디지털 환경을 맞아 IT정책을 정보화에서 디지털화로 변화시켰다는 의미가 크다. IT조직 명칭도 ‘정보화’를 ‘정보’로 교체했다. 2005년과 2010년 수립한 u서울 마스터플랜과 차세대 서울정보화마스터플랜으로 정보화는 어느 정도 달성했다는 판단이다. 서울시는 세계 도시 전자정부 평가 5연속 1위를 달성했다.
2020년까지 서울 전역에서 IoT 기반 시민 서비스 체계를 갖추는 것도 의의가 있다. 서울시는 세계에서 IoT를 가장 잘 사용하는 도시와 시민을 만들 방침이다. 생활 속 맞춤형 디지털 체험으로 시민 삶이 편리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IoT 기반 도시문제 해결과 디지털 산업 활성화, 신성장 동력 창출도 가능하다.
김 담당관은 “전문가 자문위원회와 공청회 등을 거쳐 디지털기본계획안을 9월까지 수립하고 10월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표]서울시 디지털기본계획 2020 주요 내용 / 자료:서울시>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