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과 지방대가 교육부 창의자산 실용화 지원사업을 놓고 치열한 경합을 벌인다.
관전 포인트는 컨소시엄 구성 여부다. 지방대 상당수가 ‘무기’로 컨소시엄을 들고 나왔기 때문이다. 홀로 경쟁해서는 수도권 대학 역량을 넘어설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기술 사업화를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에 더해 이 사업을 꼭 따야겠다는 지방대학 총장의 강한 의지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최근 모집을 마감한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에 59개 대학, 6개 연구소(원)가 지원했다. 이 사업은 기술·아이디어·특허 등 대학 창의적 자산을 실용화하기 위한 것이다. 창의적 자산을 많이 보유한 대학을 창조경제 전진기지로 육성하자는 취지다. 3년 단위 계속 사업으로 올해만 150억원을 지원한다. 4년제 국·공립과 사립대학 중 산학협력단이 있는 대학이 지원 대상이다. 특별법에 의한 4개 과학기술원(대)과 원격 대학, 대학원대학, 각종 학교 및 경영부실 대학은 대상이 아니다.
지원 대학은 기술창업 회사 수, 실용화 시작품 건수, 지식재산군 설계 건수, 전략분야 기술이전 건수, 실용화 전담 인력 수 등 정량 목표를 제시했다.
이 사업은 △산학협력단 혁신형 △연구소 혁신형 등 2개 분야로 나눠 지원한다.
‘산학협력단 혁신형’은 17곳 내외를 선정한다. 이번 공모에서는 24개 대학이 신청해 경쟁률이 1.4대 1에 달했다. 특히 지원 대학 24곳 중 12곳이 수도권 소재 대학이었다.
컨소시엄을 구성한 대학이 13곳이나 됐다. 부산대와 아주대, 충남대, 충북대 등 4개 컨소시엄은 참여 멤버수가 5개로 최대다.
반면에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를 비롯한 대구대, 포항공대, 경희대, 산업기술대, 서강대, 성균관대, 인천대, 한서대 등 11곳은 단독으로 신청했다.
산학협력단 혁신형 지원 대학 공모 최대 특징은 지방대를 중심으로 하는 컨소시엄 구성이다. 경쟁력을 확보하자는 차원에서 대학들이 똘똘 뭉쳐 지원한 것이다. 이러다보니 상대적으로 수도권 대학보다 지방대학 컨소시엄이 갑절 이상 많았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다음 달 심사, 평가 후 5월 최종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대학 연구소 3개 내외를 선정하는 ‘연구소 혁신형’에는 6개 연구소(원, 센터)가 지원해 경쟁률이 2대 1에 달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대만 2개 연구원(생명공학공동연구원, 축산과학기술연구원)이 신청했다. 대경강원권에서는 경북대 임베디드연구센터와 연세대 원주 바이오메디컬연구센터 등 2곳이, 동남권과 호남제주권에서는 한국해양대 해양조명 및 IT연구센터와 전북대 바이오하우징연구원 등 각 1곳이 신청했다.
선정 대학(사업단)에는 연간 5억~10억원, 평균 7억5000만원을 지원한다. 이 지원금은 각 대학이 국내외 산업 및 연구개발 동향 수집 및 분석, 보유 자산 상업화 가능성 분석 및 사업화 후속 연구개발, 해외 특허 설계 등에 사용하게 된다.
변리사와 산업동향 전문가 등 실용화 전담인력을 갖추고 창의적 자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도 쓰인다.
연구 성과물을 사업화하거나 시작품 제작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대학 창의재산 사업화를 촉진할 전망이다.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사업 신청 결과 / 자료:교육부>
방은주기자 ejb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