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을 초래했던 ‘액티브X’가 퇴출된다. 정부는 2017년까지 민간 주요 100대 웹사이트 중 90%를 ‘액티브X 프리(ActiveX-Free)’ 사이트로 전환하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일 ‘민간분야 액티브X 이용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민간 주요 100대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중소·중견 기업에 액티브X를 개선할 ‘웹 표준 활용 솔루션’ 도입을 지원한다. 도입비용(솔루션 당 2000만원, 사이트 당 1억원 상한) 절반을 대준다. 올해는 총 13억원 규모 보안·결제·인증분야를 지원한다.
미래부는 액티브X를 개선할 웹 표준 활용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파일처리·전자문서·멀티미디어 분야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추가기능 개발이 필요한 보안·결제·인증과 PC 제어 기술 개발도 지원한다. 2017년까지 총 48종 기술을 개발한다. 개발사당 최대 1억원을 지원한다.
대표 웹사이트를 선정해 웹표준(HTML5) 전환을 돕는다. 올해 10개 사이트를 시작으로 2017년까지 매년 10곳씩 총 30개를 모범사례로 만든다. 웹표준 사이트 인증제도 도입한다. 웹표준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온라인 기술지원센터와 맞춤형 컨설팅도 지원한다.
그동안 액티브X는 설치과정에서 PC 재부팅 현상과 프로그램 간 충돌이 빈번히 발생했다. 크롬과 파이어폭스는 물론이고 모바일에서 정상적 웹서비스 이용이 안 돼 이용자 불편이 속출했다. 무의식적 설치 경향을 악용해 해킹통로로 이용되기도 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등 주요 웹브라우저 공급사는 보안성을 이유로 액티브X 등 플러그인 지원을 축소했다.
국내는 전자상거래 관련 보안·인증·결제 기능에 액티브X 사용이 만연하다. 업계는 액티브X 개선 필요성은 인지하지만 웹표준 활용 솔루션 도입비용과 기술 부재로 어려움을 호소했다. 기업은 HTML5를 지원하는 웹사이트를 만들기 전까지 다양한 브라우저를 지원하는 실행 파일 형태 과도기를 거칠 전망이다.
강성주 미래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액티브X가 없는 환경에 공감대는 형성됐지만 비용과 기술문제로 실제적 개선이 이뤄지지 못했다”며 “정부가 정책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해 확산을 꾀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 노력과 민간 부문 정책 참여 유도로 이용자 불편을 해소하고 국내 인터넷 이용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연도별 웹표준 활용 솔루션 도입 지원계획>
<연도별 웹표준 활용 기술 개발계획 / 자료:미래부>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