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기능안전 국제표준 대응에 민-관 손 잡았다

자동차 기능안전 국제표준(ISO 26262) 대응에 기업과 정부기관, 대학이 손을 잡았다. 표준활동 동향을 공유하고 표준 제정 작업에 우리 업계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조직을 출범시켰다. 그동안 우리나라 업계의 ISO 26262 대응은 한 발 늦었다는 지적이 많았지만 이번 활동을 계기로 전환점이 마련될지 주목됐다.

자동차 기능안전 국제표준 대응에 민-관 손 잡았다

8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13개 기관·기업은 지난 달 ‘자동차 기능안전 연구회’를 꾸리고 활동을 시작했다. 연구회에는 현대자동차, 쌍용자동차, 현대모비스, 만도, 아이에이 등 국내 주요 완성차 제조사와 반도체·전장부품 제조사가 참여한다.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전자부품연구원(KETI), 자동차부품연구원(KATECH), 한양대학교 등이 파트너다. 연구회 주관과 운영 실무는 국표원과 KTL이 주도한다.

연구회는 국제표준화기구(ISO)와 우리나라 업계 가교 역할을 한다. ISO는 지난 1월 ISO 26262 2판(세컨드 에디션) 개정 작업을 시작하면서 워킹그룹(WG) 내에 하위 그룹을 꾸렸다. 개정 표준 골자는 △3.5톤 이상 상용차와 모터사이클로 적용 확대 △반도체와 소프트웨어(SW) 기능안전 가이드라인 구체화가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각 그룹 논의에 참여해 의견을 적극 개진해야 하는 상황이다. 연구회는 표준 제정 상황을 업계에 전파하고 업계 관계자를 ISO WG에 직접 참여시킨다. 조만간 하위 그룹 별 참여 멤버를 연구회 차원에서 결정한다.

두 달에 한 번 정기회의를 갖고 기관·기업 별 담당자도 지정한다. 정기회의 때는 기관·기업 별로 연구 과제가 주어지고 다음 회의 때 결과가 보고된다. ISO에서 주요 의사결정 사항이 투표에 부쳐지면 연구회 차원에서 찬·반과 기권 전략을 결정한다.

ISO 26262가 ‘2라운드’에 접어들면서 우리나라도 대응 체계를 가다듬는 모양새다. 기관과 기업이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하고 실시간 대응 전략까지 함께 논의하기로 했다. 의견 반영, 신속한 대응방안 마련 등 업계가 누리는 실익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완성차 회사 평가에서 대부분 부품사가 낙제점을 받는 등 기능안전 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하지만 최근 현대·기아자동차가 신형 i40 변속기에 ISO 26262를 적용하는 등 대응에 속도가 붙고 있다. 이 회사는 올해 신규 발주 과제부터 표준을 준수하고 주요 전자제어장치(ECU) 30여 종의 표준 준수 여부를 검증한다. 이처럼 업계 대응이 빨라지는 상황이어서 이번 연구회 발족 역시 ISO 26262 대응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연구회 정식 발족은 지난 달이지만 조직 필요성은 약 2년 전부터 꾸준히 제기됐다”며 “특히 올해 2판 제정작업이 본격화되면서 업계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연구회가 내실 있게 운영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