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도 전기차 충전인프라 사업에 뛰어들었다. 서비스 유료화를 추진 중인 포스코ICT와 한국전력 특수목적법인(SPC)에 이어 세 번째 참여다. 한전 SPC가 사실상 산업통상자원부 정책을 수행하는 것이어서 부처 간 대리 경쟁 구도가 됐다. 다만, 환경부는 민간 영역 침해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민간과의 직접 경쟁은 최대한 피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산하단체인 한국자동차환경협회와 국가 소유의 전국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역무대행 계약을 체결하고 오는 2017년까지 급속충전기 630기를 구축한다고 8일 밝혔다. 정부가 구축한 충전인프라가 늘어남에 따라 보다 체계적인 관리와 서비스 유료화까지 고려해 자동차환경협회를 사업자로 지정했다.
자동차환경협회는 전국에 구축된 충전기 237기를 포함해 2017년까지 정부가 구축하는 급속충전기 630기(누적) 운영과 유지보수를 맡게 된다. 우리나라에 깔린 급속충전기 90% 이상을 도맡는 셈이다. 올해 하반기부터 충전기 이용 때 요금을 부과할 방침이다.
요금은 영업 이윤 없이 원가 수준에서 책정하지만, 업계가 우려했던 공공-민간 경쟁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충전기는 민간 투자가 어려워져 수익성이 낮은 도시외곽이나 고속도로 등에서 주로 운영된다.
박연재 환경부 교통환경과장은 “서비스 요금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민간보다 우위에 설 것이란 우려가 나왔지만, 당장 민간 투자가 쉽지 않은 고속도로·도시외곽도로 등 반드시 필요한 곳에 구축한다”며 “향후 사업을 잘할 수 있는 민간기업이 나오면 얼마든지 (사업권) 이양이나 협력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간 영역 침범보다는 국가 차원의 충전인프라 확대에 주력하면서 민간시장 창출을 측면 지원하겠다는 뜻이다.
업계도 반기는 눈치다. 업계 관계자는 “민간보다 낮은 요금을 부과하기 때문에 시장 경쟁에 밀릴 수밖에 없지만, 고속도로 등 사각지대에 구축한다면 초기 충전인프라 확대 효과가 클 것”이라며 “환경부가 하루빨리 유료 서비스로 전환해 시장을 열어주고 민간 인프라와 사용자 호환 등을 해결한다면 이용자 입장에서도 반가운 일”이라고 말했다.
표/전기차 충전인프라 서비스 사업자 현황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