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지난 2010년 액정표시장치(LCD)를 신흥 전략 산업 중 하나로 지정하고 전 방위 육성책을 펼쳐왔다. TV, 휴대폰 등 전방 산업의 제품 보조금 지원은 물론이고 패널 제조 생산자금 지원, 후방 산업인 부품 소재·설비 국산화에도 팔을 걷어붙였다. 중국 정부 지원 효과는 디스플레이 산업 전후방 생태계 전반으로 퍼져나가 중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고속 발전을 이루는 신화를 만들어냈다.
중국 지원 정책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국내 산업 보호 측면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12년 4월 32인치 이상 LCD 관세율을 3%에서 5%로 인상했다. 디스플레이 패널 핵심 부품 중 하나인 편광판 관세율도 4%에서 6%로 올렸다. 이는 양산 체제에 돌입한 자국 기업을 보호하고 한국, 대만, 일본 기업의 중국 내 현지 투자 확대를 유도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관세율 인상은 결국 자국 패널 업체와 우리나라에서 만든 수입 패널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됐다.
둘째는 시장 진입 제한이다. 정부는 경쟁력 있는 8세대 이상의 대형 LCD 신규 투자에 대해선 반드시 중앙 정부의 사전 승인을 받도록 규제했다. 이는 자국 기업의 우선적 투자와 발전을 지원하려는 의도가 내재돼 있다.
셋째는 세제 혜택이다. 법인세를 25%에서 15%로 대폭 감면하고 국산 설비 사용 시 면제 정책을 시행했다.
넷째는 막대한 설비 자금 지원이다. 패널 공장 설립 시 지방 정부들은 공동 투자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지원했다. BOE의 충칭 8세대 투자액 328억 위안(약 5조7747억원)) 중 약 40%가 은행 차입금이고, 33%가 충칭시에서 투자한 것이다. 나머지 27%는 충칭시와 BOE가 공동투자 형식으로 설립금을 냈다. BOE는 전체 투자금액의 20% 미만만 부담했다. 티안마는 4.5세대 우한 지역 공장 설립에 시 정부가 90%, 4.5세대 청두공장엔 70%를 각각 지원했다.
중국은 기술 인력 확보에도 엄청난 투자를 단행했다. 주로 한국·대만의 기술과 인력을 활용했다. CSOT 엔지니어의 상당수가 대만 AUO와 치메이전자 출신이다. OLED 패널 생산 업체인 GVO 수장은 현재 한국 사람이다.
업계 관계자는 “패널 업체가 적자 상황에서도 정부 대규모 투자가 진행됐을 정도로 사실상 ‘묻지마’ 투자 수준”이라며 “정부의 집중적인 산업 육성 의지가 중국 디스플레이 산업을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
-
성현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