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바이오]정부 의료정보 정책 `의료표준 현장 적용과 수요자 중심 서비스 구현` 전환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보건 의료용어 표준 고시 현황보건복지부 '의료정보화 2020'추진과제

정부 의료정보 정책이 변화된다. 핵심은 의료정보 표준 활성화와 수요자 중심 의료정보화다.

먼저 지난 수년간 추진, 제정한 의료용어 표준을 의료현장에 적용한다. 보건의료정보 표준 적용으로 국가 의료산업 선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내부 전산화에 초점을 맞췄던 의료정보화도 개인이 언제 어디서든 건강정보를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의료용어 표준, 현장 적용 강화

보건복지부는 지난 2013년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지정받은 보건의료분야 표준화협력센터(WHO-FIC)를 가동했다.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이 담당하는 WHO-FIC는 국제질병분류(ICD), 국제의료행위분류(ICHI),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 등 보건의료 현장에서 사용하는 표준용어와 분류기준을 개발했다. 지난해 9월 ‘보건의료용어표준’을 보건의료정보화에 필요한 국가 표준으로 고시했다.

보건의료 용어 표준은 현재 9개 분야 18만6156건이 고시됐다. 지난해 분당서울대병원, 녹십자의료재단을 대상으로 검사의뢰·결과회송 시 용어표준 적용절차를 마련하는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검사용어는 1892건으로 매핑 결과 95.1%가 일치했다.

공공의료 중심 보급도 확대한다. 보건소·보건지소·보건진료소 3500개소를 대상으로 지역보건정보시스템 용어표준과 진료용그림을 적용했다. 진단·의료행위·기타용어·진료용그림 등 약 14만건에 해당한다. 근로복지공단 산하 안산·인천병원과 민간 협력병원 6곳에서도 진행했다. 진단·의료행위(수술)·검사용어 등 9만3000건을 적용했다. 정보화 지원사업으로 대구·포항·안동·안성의료원 대상 지방의료원 용어표준도 실시했다.

보건복지부와 복지정보개발원은 시범적용에 기반을 두고 국내 보건의료정보화 실정에 맞는 활용 사례를 도출한다. 산업성 있는 사례를 만들어 의료현장 표준적용 방안을 수립한다. 향후 5개월동안 관련 연구용역도 실시한다. 의료용어 표준 관리·운영 방안도 세운다.

◇정부, 의료정보화 고도화 추진

보건의료정보화도 고도화한다. 의료정보화는 과거 내부 정보화에 주력했던 상황에서 이제는 기관 간 정보연계와 수용중심 서비스 구현이 핵심이다. 의료정보 수집과 교류 활용체계 구축, 개인건강기록(PHR) 활용 인프라 조성이 필수다.

정부는 이를 뒷받침하고자 ‘의료정보화 2020’을 수립했다. 정보기술(IT)에 기반을 두고 필요할 때, 필요한 곳에서 안전한 건강정보 활용 실현이 비전이다. 추진전략은 기반 강화, 연계 조성, 고도화, 소통 등이다.

올해부터 2017년까지 보건의료정보 기반 강화에 △기존 의료정보시스템 개선 △의료정보 표준화 △정보인증체계 구축·운영 △의료정보 보호·보안체계 구축 △중점육성 운영사업을 실시한다. 2019년까지 보건의료정보화를 연계한다. △수요자 중심 연계서비스 △공급자 중심 연계서비스 △정부 중심 연계서비스를 지원하고 △서비스운영 최적화를 추진한다. 보건의료 정보화 환류체계도 조성한다.

이강희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제도개선팀장은 “향후 수요자는 양질의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언제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은 경쟁력 강화는 물론이고 산업화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보건의료용어표준 고시 현황 (단위:건) 자료:보건복지부>


보건의료용어표준 고시 현황 (단위:건) 자료: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의료정보화 2020 추진 과제 자료: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의료정보화 2020 추진 과제 자료:보건복지부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